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재부 차관들 연이틀 대구로..'코드 일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朴대통령, 崔부총리 시선 의식" 지적 나와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2월 임시국회가 마무리된 가운데 기획재정부 차관들이 지역 현장 방문에 재시동을 걸고 있다. 1, 2차관의 방문지가 박근혜 대통령,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관련이 깊은 대구광역시로 겹쳐 '코드 일정'이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온다.


주형환 기재부 1차관은 4일 대구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방문해 현지 기업인, 행정가들과 만난다. 기재부 관계자는 이번 일정에 대해 "임시국회가 끝나 그간 바빠서 챙기지 못했던 지역 현장을 돌아보려 한다"며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전국에서 가장 먼저 만든 대구에 가서 현황을 점검하고 지원 방안을 고민하려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전날 방문규 기재부 2차관도 대구를 찾았다. 방 차관은 이날 대구 혁신도시에서 공공기관장들과 간담회를 연 뒤 국비지원사업 밀집지역을 돌아봤다. 사업현장 시찰에는 대구시의 김연창 경제부시장, 최운백 창조경제본부장 등이 동행했다.


주 차관은 24일 만에 방 차관은 18일 만에 재개한 현장 방문이 공교롭게도 대구로 겹치면서 일각에선 박 대통령과 최 부총리의 시선을 의식한 행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대구는 박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이고 최 부총리의 국회의원 시절 지역구(경상북도 경산)와도 인접해있다.


최 부총리는 의원 재직 당시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을 대구와 경산의 경계선을 넘어 연장하고 대구·경북 지역의 과학기술 연구를 부흥시키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도시철도 연장 사업의 경우 최 부총리의 노력으로 기재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 지난해 3월 사업이 본격 추진됐다.


차관들의 대구행과 관련, 기재부 관계자는 "1, 2차관실이 서로 간 논의 없이 지역 현장 방문을 기획했는데 정해놓고 보니 방문지가 대구로 같았다"며 "조정해보려 했지만 이미 정한 현지 일정을 바꾸기가 어려워 그대로 뒀다"고 설명했다. 차관 일정은 보통 차관실에서 자율적으로 정하고 현장 방문 성과 등을 부총리에게 사후 보고한다.




세종=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