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영한 수석 항명..與 인적쇄신 요구 탄력받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비박계 입김 세져..김기춘 실장 사퇴 여부 촉각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김영한 청와대 민정수석의 국회 운영위 출석 거부 파동으로 청와대 인적쇄신 요구가 더욱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여당내 비박과 친박계가 인적쇄신을 놓고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였는데, 김 수석의 국회 출석 거부로 비박계가 주장하는 청와대 일부 인사 교체가 힘을 얻게 됐다는 것이다.


여당내 비박계 핵심 의원은 10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청와대 문건 문제가 아니라 공직기강 자체가 무너졌다는 점이 더욱 참담하다"며 "청와대 인적쇄신은 불가피한 상황에 이른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어 "문제가 불거졌을 때 (김 수석이) 진작 사퇴했어야 했다"며 "그동안 해결도 못하고 있다가 국회에서 나오라고 하니 갑자기 그만두겠다고 하는 건 도대체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다"며 격한 반응을 보였다.


반면 그동안 '분위기 전환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인 한 친박계 의원은 항명 소식을 접했음에도 "아직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말을 아꼈다.

여당내 친박과 비박계간 정치 지형이 바뀐 것은 김 수석의 항명이 청와대 인사 난맥상을 보여주는 상징으로 받아들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완구 원내대표는 9일 오후 운영위에서 김 수석이 불출석하겠다는 입장을 전해들은 직후 "상당히 유감"이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도 "여야가 합의해 국회출석을 요구했다면 성심성의껏 최선을 다하는 게 공직자로서의 자세인데 실망스럽다"고 거들었다.


비박계 요구를 청와대가 수용할 가능성은 높아보인다. 12일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돌발 악재를 털어내기 위해서는 어떤 식으로든 쇄신이 때문이다. 특히 비선의혹에 대해 특검을 실시해야 한다는 야당의 파상공세를 막기 위해서라도 인사 교체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여당 관계자는 "청와대 기율이 한마디로 엉망"이라며 "대통령의 위신을 바로 세운다는 차원에서 인사를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심은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의 사퇴 여부다. 여당 관계자는 "인적쇄신을 강행한다면 청와대내 권력서열 2위인 비서실장을 교체하는 게 가장 효과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이날 운영위에서 "결코 자리에 연연하지 않으며 소임이 끝나는 날 언제든 물러날 마음 자세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