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주택시장 선순환구조 돌입…향후 10년간 2.9~3.1%씩 가격 상승"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한국감정원 '부동산시장 동향 및 전망 보고서', "올해는 매매가 2.3% 오르고 거래량 8% 늘어나"

[아시아경제 윤나영 기자] 향후 10년간 연평균 아파트 가격 상승폭은 2.9~3.1%에 달할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또 올해 주택시장은 회복세 속에 매매가격은 작년 대비 2.3% 상승하고 거래량도 8%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한국감정원은 6일 '2014년 부동산시장 동향 및 2015년 전망 발표' 보고서를 통해 올해부터 10년간 주택매매의 선순환 구조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향후 10년간 연평균 아파트 가격 상승폭은 2.9~3.1%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올해는 전년 대비 매매가가 2.3% 상승하고 거래량은 지난해 잠정치인 100만건보다 8% 늘어난다는 예상치도 내놨다.

채미옥 한국감정원 부동산연구원장은 "올해 주택시장은 전세가격 상승에 따른 매매전환 수요와 재건축 투자 수요, 혁신도시 입주기업의 이주완료 등을 바탕으로 매매가격과 거래량 모두 전국적으로 상승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임대차와 관련, 전세가격은 전국 기준 2.2%, 수도권은 3.4%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전세가 상승세 원인으로는 전세주택의 월세 전환 등 임대시장 구조 변화와 재건축 이주수요 확대 등을 들었다. 감정원에 따르면, 전세시장의 경우 전세가 1억원 이하 전세비중이 크게 감소하고 2억원 이하 전세도 소폭 감소한 반면 2억원 이상 전세 비중은 2011년 16.2%에서 2014년 24.6%로 증가했으며 특히 4억원 이상의 전세비중이 2011년 2.6%에서 2014년 4.9%로 두 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시장은 주택시장의 회복과 경기 호전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의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점쳤다.


감정원은 지난해 정부의 잇단 부동산 대책과 규제완화로 40∼50대의 대형주택 구매가 늘어난데 비해 소형주택의 주 수요층인 30대와 30대 이하 계층의 거래량은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채 원장은 "앞으로 서민형 전세주택 공급을 확대함과 더불어 사회 진입 계층인 30대 이하의 주택구입 예정자를 위한 다양한 정부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감정원은 지난해 서민주거안정을 위해 정부가 내놓은 월세 지원 정책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채 원장은 "월세 세액공제, 대출지원 등 월세지원 확대정책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임대시장에서 월세의 비중이 높아지고 계약형태가 다양하게 변화함에 따라 감정원은 월세 통계에 정확한 월세부담수준을 반영하기 위헤 조사 지역 및 표본을 확대하고, 완전월세·보증부월세·반전세 등으로 세분화된 월세통계와 실거래 기반 전월세 전환율을 산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나영 기자 dailybe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