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조산업 원양어선 베링해서 좌초…52명 실종(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60명 승선…한국인 1명 사망

"한꺼번에 많은 물 유입…배수구 막혀 기울기 시작"


사조산업 원양어선 베링해서 좌초…52명 실종(종합) 사조산업 원양어선 '501오룡호'가 서베링해서 침몰된 가운데 1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구조 및 사후수습을 위한 정부합동대책회의에 앞서 한 외교부 관계자가 회의실에 붙어있는 세계지도에서 사고해역 주변을 가리키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 사조산업 소속의 1753t급 명태잡이 원양어선인 501오룡호가 베링해에서 좌초됐다.

베링해는 북태평양 북부에 있는 바다로 러시아와 알래스카 사이에 있으며 세인트로렌스 섬이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해양수산부는 1일 오룡호가 오후 2시10분께 배의 창고 쪽으로 원인을 알 수 없는 침수가 발생해 2시20분께 인근 러시아 구조본부에 구조요청이 들어왔다고 밝혔다.

선박 탑승인원은 한국 11명, 필리핀 13명, 인도네시아 35명, 러시아 국경수비대 소속 감독관 1명 등 총 60명이다.


이날 오후 3시10분께 러시아 선박 2척으로부터 외국인 선원 7명과 한국인 선원 1명 등 8명이 구조됐으나, 한국인 선원은 저체온증으로 구조 직후 사망했다.


구조된 외국인은 러시아 감독관과 인도네시아 선원 5명, 필리핀 선원 1명이다.


사고 현장에는 인근 해역에서 조업 중이던 어선 4척이 구조 작업을 펼쳤으나 기상 상황이 좋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선박에는 20명 정원인 구명뗏목 4대와 16명 정원의 구명 뗏목 4대 등이 비치돼 있었던 것으로 사조산업 측은 밝혔다. 구조된 선원들 외에는 뗏목을 사용하지 못하고 구명동의를 착용하고 탈출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사고 해역의 바다 수온은 영하 10도 정도로 아주 찬 편이어서 빠른 구조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위험한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외교부는 사고 발생 즉시 대책반을 구성하고 주 블라디보스토크 총영사관과 현지 공관을 통해 러시아 국경수비대 및 극동비상사태부 등 관계 기관에 수색과 선원 구조 작업을 최대한 신속하게 진행해줄 것을 요청했다.


사조산업 측은 부산지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오룡호 고기 처리실에 어획물을 넣는 작업을 하던 중 한꺼번에 많은 물이 들어오면서 배수가 막혀 배가 기울기 시작했다"며 "선원들이 배를 세우려고 노력해 어느 정도 복원됐다고 판단, 펌프로 배수작업을 했으나 갑자기 배가 심하게 기울어 퇴선명령이 떨어지고 선원들이 탈출했다"고 말했다.


사고 해역 주변에는 실종선원 52명을 찾기 위해 구조선이 속속 도착하는 등 구조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나 바람이 초속 25∼27m, 파도가 5∼7m 정도 이는 등 기상 조건이 좋지 않아 큰 진척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외교부와 해양수산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구조 및 사후 수습을 위한 합동 대책회의'를 열어 선원 구조 방안을 논의하고 최대한 신속한 구조를 위해 총력 대처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한편 사고 선박은 1978년 11월 스페인에서 건조된 노후 선박으로 2010년 사조산업에서 인수한 뒤 이후 러시아와 합작 운항하다가 올해 한국국적으로 바뀌었다.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