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에볼라, 빈틈없는 방역대책 세웠나

시계아이콘01분 03초 소요

정부가 에볼라 바이러스 피해 지역에 보건인력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내달 초 선발대를 보내 안전대책을 점검한 뒤 군과 민간에서 선발한 본대를 파견할 계획이다. 파견 규모 및 지역, 일정 등은 선발대 복귀 이후 확정하기로 했다. 에볼라 공포가 지구촌을 휩쓸고 있는 가운데 국제사회 일원으로서 인도주의에 바탕해 보건인력을 지원하기로 한 것은 바람직하다.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 경험과 인력이 없는 상태에서 이뤄진 결정이다. 때문에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을까에 의문을 제기하는 이들이 없지 않다. 정부 관계자도 "현지에서 치료경험을 통해 현장 대응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말할 정도다. 의료인력을 보내는 것만이 전부가 아니다. 현장의 에볼라 퇴치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있는 인력을 선발하는 등 면밀한 준비가 필요하다.

에볼라 퇴치 지원에서 우선 생각할 것은 파견 인력의 안전성이다. 에볼라 환자의 5% 정도는 환자를 치료하던 의료진이다. 철저한 감염 예방 대책과 함께 만에 하나 우리 의료진이 감염될 경우의 대비책도 세워놓아야 한다. 정부는 현지 치료, 제3국 이송, 국내 이송 등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특히 국내 이송의 경우에는 국민이 불안해 하지 않도록 빈틈없는 대비책을 마련해 놓아야 한다.


그런 점에서 보건의료 전문가들의 조언을 귀담아들을 필요가 있다. 의사협회와 감염학회 등은 장비와 매뉴얼 등을 완벽하게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대규모 신종 감염병에 대응해 본 경험이 없다. 그런 까닭에 감염 예방을 위해 가장 필요한 '보호장비 착용 매뉴얼조차' 제대로 된 게 없는 실정이다. 감염 예방 훈련은 물론 방역복을 입고, 벗는 것 하나까지도 철저하게 교육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지난 2월 서아프리카에서 발병한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자는 17일 현재 9200여명으로 이 중 4546명이 숨졌다. 최근에는 라이베리아에서 15~20일마다 2배씩 환자가 늘어나는 등 감염속도가 더 빨라졌다고 한다. 아프리카뿐 아니라 전 세계와 인적 교류를 하고 있는 우리나라도 언제까지 안전지대라고 장담할 수 없다. 보건인력 파견 결정을 계기로 선진국의 감염 대응 및 치료 체계를 서둘러 도입하는 등 철저한 에볼라 방비책을 짜놔야 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