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4국감]국제학술지 '백두산' 논문, 중국 저자가 다수

시계아이콘00분 5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중국이 '백두산'을 '장백산'으로 규정하고 의도적으로 연구를 장려하는 동안 한국은 백두산 연구를 사실상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백두산 관련 중국의 논문 수는 한국의 63배에 달했다.


8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회선 의원(새누리당, 서울 서초갑)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인 '스코푸스(Scopus) 국제학술지 국가별 발표논문 현황'을 분석한 결과, 장백산(Changbai)으로 등재된 논문은 지난 6년간 253편에 달했으나 백두산(Baekdu)을 키워드로 등재한 논문은 중국의 1.6% 수준인 4편에 불과했다. 백두산과 장백산이 모두 포함된 논문은 단 1편으로 우리나라 저자가 작성한 것으로 밝혀졌다. 스코푸스(Scopus)는 세계 최대의 학술인용기관으로 학술문헌정보의 포괄적인 검색과 논문인용 분석 등을 제공하고 있다.

장백산 관련 논문 피인용횟수는 116회에 달했지만 우리의 백두산 관련 논문 피인용횟수는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장백산의 경우 77회와 44회씩 피인용 된 논문이 각각 1편이 있고, 10회 이상 피인용된 논문도 10편이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장백산을 연구한 논문 253편 중 중국 국적의 저자 논문은 243편이고 일본이나 미국, 독일 등 국적의 저자들의 논문도 10편이나 됐다. 또한 중국은 다른 나라 국적의 연구자와 공동 연구으로 진행한 논문은 34편으로 파악됐다. 이러한 공동연구는 해외연구자들이 백두산을 장백산이라고 인식하기에 좋은 전략으로 판단된다.


중국은 백두산의 전략적, 역사문화적, 경제적 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했기 때문에 '장백산'이라 부르고 '제2의 동북공정' 일환으로 영토 영유권을 강화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연구를 많이 진행해 온 것으로 파악된다. 실제로 중국은 백두산을 2009년 8월 ‘장백산 화산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 최근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받기 위해 장백산 연구 용역을 의도적으로 전폭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회선 의원은 “역사왜곡과 영토문제에 대해 장기적인 로드맵을 가지고 전략적인 접근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