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교황방한] 세월호 유가족·새터민 등 32명 공항 마중

시계아이콘01분 4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14일 한국 땅을 밟을 프란치스코 교황을 만나기 위해 제일 먼저 세월호 유가족들과 새터민 등 32명이 공항으로 마중을 나간다. 교황은 이날 오전 10시 30분 알이탈리아편을 통해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교황방한위원회는 이날 오전 브리핑을 통해 교황 영접에 나서는 평신도들과 한국주교단 등을 소개했다. 허영엽 신부(대변인)이 발표한 교황 환영단에 포함된 평신도 들은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4명), 새터민(2명), 이주노동자(2명), 범죄피해자 가족모임인 해밀(2명), 가톨릭노동청년(2명), 장애인(보호자 포함 2명), 시복대상자 후손(2명), 외국인 선교사(2명), 수도자 대표(2명), 중고생(4명), 어르신대표(2명), 예비신자(2명), 화동(2명) 및 보호자(2명) 등 32명이다.

주교단 대표는 방한위원회 의장인 강우일 주교, 천주교주교회의 부의장 김지석 주교, 서울대교구장 겸 평양교구장 서리 염수정 추기경 등 총 9명이 참석한다. 이와 함께 박근혜 대통령도 윤병세 외교부 장관 등 관료들과 함께 교황을 마중할 예정이다.


허영엽 신부는 "교황께서는 소탈하시고 모든 사람과 소통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첫 만남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지 고민을 많이 했다"며 "우리사회에서 오랫동안 봉사하고 교회안에서도 귀감이 되는 분들을 초청했다. 또한 큰 아픔을 겪고 있는 세월호 가족들 중에서도 신자분들을 중심으로 만남을 성사시켰다"고 설명했다.

서울공항에서 교황을 만나는 평신도들 중 세월호 침몰사고 희생자 유가족에는 고(故) 남윤철 단원고 교사의 부친 남수현(세례명 가브리엘) 씨와 부인 송경옥(모니카) 씨, 사제의 길을 꿈꾸던 예비신학생 고 박성호(단원고 2학년) 군의 아버지 박윤오(50, 임마누엘) 씨, 일반인 희생자 고 정원재(61, 대건안드레아) 씨의 부인 김봉희(58, 마리아) 씨 등 4명이 포함됐다.


장애인 대표로 참석하는 정진숙(62, 제노베파) 씨는 서울대교구 빈민사목위원회에 소속된 봉제협동조합 솔샘일터에서 일하고 있다. 2009년 김수환 추기경이 선종 때 입었던 제의를 만든 디자이너로 유명하다. 그는 오는 18일 프란치스코 교황이 ‘평화와 화해를 위한 미사’를 주례할 때 입을 장백의를 제작 했다.


2001년 5월 한국에 입국한 새터민 한성룡(44. 대건안드레아)와 2012년 한국 땅을 밟은 김정현(가명, 58, 스텔라) 씨, 필리핀 이주노동자 하이메 세라노 씨와 볼리비아 출신 아녜스 팔로메케 로마네트 씨도 공항에서 교황을 맞이한다. 김정현 씨는 "평생 살면서 이런 기회가 올 줄 몰랐다"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한국에서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을 보살펴온 외국인 선교사 2명도 특별히 초대됐다. 영국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옥스퍼드대학에서 철학과 경제학을 전공한 양 수산나(78, 수산나 메리 영거) 여사는 한 달이 넘는 긴 항해 끝에 1959년 12월 우리나라에 입국, 1962년 가톨릭푸름터(옛 가톨릭여자기술원)를 설립해 불우한 여성들에게 양재와 미용기술을 가르쳤다. 교회에 봉사하는 가톨릭 독신여성 단체인 아욱실리스타(사도직 협조자) 회원이기도 한 양 수산나 여사는 1973년 여성 사도직 협조자 교육을 위해 프랑스 루르드로 간 뒤에도 매년 한국을 오가며 대구와의 인연을 이어가다 2004년 은퇴한 뒤 한국에 정착, 2011년 대구 명예시민이 됐다.


뉴질랜드 출신인 안광훈(73, 브레넌 로버트 존) 신부는 세계적 가톨릭 선교단체인 성 골롬반 외방선교회 소속으로 1966년 25세의 나이로 입국, 강원도 내 성당들에서 사목하면서 정선 신협, 성프란치스코 병원 등을 세워 농민과 광부들의 자활을 도왔다. 1980년대부터는 빈민운동을 시작, 서울 강북구 일대에 전셋집을 얻어 살며 달동네 주민들과 함께 철거 반대운동, 실직자 대책 마련, 자활센터 설립 등의 활동을 펼쳤다.


이 밖에 시복대상자 후손인 정규혁(88, 베드로) 씨는 다산 정약용의 형이자 성 정하상 바오로의 아버지인 정약종(아우구스티노, 1760~1801)의 방계 4대손이며, 권혁훈(68, 가스파르) 씨는 조선 후기 학자로 천주교의 전파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 권일신(프란치스코 하비에르, 1742∼1791년)의 자녀로 오는 16일 복자품에 오르는 권상문(세바스티아노, 1769∼1802)ㆍ천례(데레사, 1784∼1819년) 남매의 6대손이다.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