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與의원들, 7·30 이겼지만 '이게 고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아시아경제 최은석 기자] 새누리당 수도권에 지역구를 둔 A의원은 최근 보좌진 인력을 재편하며 지역구 관리 인력을 늘렸다. 수도권 지역 B의원도 6ㆍ4 지방선거 뒤 공석이던 보좌진을 채용했다. 이 보좌진은 국회가 아닌 지역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새누리당 의원들이 6ㆍ4 지방선거, 7ㆍ30 재보궐선거를 끝내자마자 '총선 모드'로 급선회하고 있다. 당 전체 성적표는 나쁘지 않지만 개별 의원들이 받은 지역별 성적은 썩 좋은 편이 아니다. 특히 수도권은 그야말로 비상이다. 지방선거에서 서울의 경우 '박원순 바람'이 유일한 텃밭인 강남까지 위협했고, 경기도에서는 남경필 지사가 수성에 성공했지만 기초단체장 선거에선 야당에 패했다.

무소속 돌풍이 불었던 텃밭 부산도 내상(內傷)이 꽤 깊다. 기초ㆍ광역 의원의 경우 야당에 절반 가량 빼앗겼다. 부산 지역 C의원은 6ㆍ4 지방선거 뒤 곧바로 보좌진과 회의를 열어 향후 총선 준비를 위한 로드맵 작성에 집중했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7ㆍ30 재보선을 통해 유권자의 투표 성향이 달라진 점에 긴장하고 있다. 중앙정치무대에서 인지도가 높은 거물급 중진 의원들이 지역에서 입지를 다진 정치 신인에게 힘없이 무너지자 중앙에 집중하던 정치행보를 수정하고 '지역 관리'로 전환하는 움직임도 뚜렷하다.


영남지역 한 의원의 보좌관은 "선거 뒤 준비하는 법안들이 달라졌다. 지금껏 주요 정치 현안에 대한 법안 준비에 주력했다면 지방선거와 재보선이 지나면서 지역 내 현안 해결을 위한 법안 준비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도권 지역의 한 보좌관은 "유권자의 투표 패턴이 이익 중심으로 달라지고 있어 이젠 주민들의 피부에 와닿는 구체적 성과가 없이는 당선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며 "의원회관 근무 인력을 최소화 하고 지역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당의 공천 변화 움직임도 의원들의 행보 변화를 이끌고 있다. 김무성 대표가 전략공천 폐지와 상향식 공천을 통한 지역 내 경쟁력 있는 인사 발굴을 언급하고 이번 재보선에서도 수도권에 정치 신인을 공천하면서 의원들이 지역구 관리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당 관계자는 "지역 내 경쟁력이 가장 큰 공천 기준일 수밖에 없어 의원들, 특히 수도권에 지역구를 둔 의원들은 지역구 관리에 더 신경을 쓸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은석 기자 chami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