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은행도 소득과 학력은 차별한다? 저학력·저소득·임시직, 비은행대출로 내몰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아시아경제 이장현 기자] 학력과 소득이 낮거나 임시·일용직에 종사하는 근로자일수록 은행 대출보다 비은행 금융사로부터의 대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건국대 국제무역학과 최필선·권정현 연구팀은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연구'에 기고한 보고서를 통해 가구의 계층별 특성에 따른 은행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 2012년 금감원과 한국은행, 통계청이 실시한 가계금융조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담보대출의 경우 소득 최하위 20%의 비은행대출 비율은 54.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가구 평균 22.1%의 두 배가 넘고, 소득 최상위 20%의 비은행대출 비율 15.5%의 세 배가 넘는 비율이다.


가구주 지위로 보면 상용근로자는 비은행대출 비율이 16.7%에 불과했지만 임시·일용근로자는 30.1%로 상용근로자의 2배에 육박했다.

가구주 교육수준별로는 최종학력 초등학교 이하 계층의 비은행대출 비율은 51.1%, 대학교 이상 계층은 19.3%였다.


순자산 기준으로도 하위 20%는 비은행대출 비율이 39.4%인 반면 상위 20%는 17.1%에 그쳐 큰 차이를 보였다.


신용대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소득 하위 계층과 임시·일용근로자, 초등학교 이하 학력 소지자가 소득 상위 계층과 상용근로자, 대학교 이상 학력자보다 비은행대출 비율이 높았다.


연구팀은 대출자의 신용도나 위험도의 영향을 보기 위해 부채자산비율, 금융부채소득비율, 원리금상환부담비율 등 재무건전성 지표를 분석했지만 재무건전성과 은행·비은행대출 비율은 긴밀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회귀분석을 통해 가계의 재무건전성을 같게 놓고 비교해도 소득이나 교육수준, 아파트보유 여부, 수도권거주 여부에 따라 은행권 대출 비율이 달라졌다.


연구팀은 "이런 결과만으로 대출의 차별성을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금융당국과 학계·업계가 학력과 재산, 직업에 따른 대출 차별이 존재하는지를 살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장현 기자 insid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