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최동현 기자]제26대 서울대 총장이 19일 결정된다. 2011년 법인화 이후 첫 간선제 총장이 등장하는 만큼, 학내에서 새 총장에 거는 기대와 관심은 여느 때보다 높다. 교수채용 비리, 인재 이탈, 국공립대 통합 논란 등으로 잡음이 끊이지 않은 서울대를 새 총장이 어떻게 이끌어 나갈 수 있을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법인화 이후 첫 간선제 총장=19일 서울대에 따르면 서울대 이사회는 이날 오후 4시께 회의를 열고 제26대 총장 최종후보자를 뽑는 투표를 실시한다.
이번 신임 총장은 서울대 첫 간선제 총장이라는 점에서 남다른 의미가 있다. 이전 총장 선거는 서울대 교직원이 참여하는 직선제 방식이었지만 2011년 법인화 이후 간선제 방식으로 바뀌었다.
여러 단계의 평가 과정을 거치고 마지막 관문에 들어선 후보는 강태진 재료공학부 교수, 성낙인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오세정 물리천문학부 교수 등 3명이다.
강 교수는 학부교육을 강화하고 학내 연구진과 외부 산업을 잇는 SNU C&D(Connect & Development)도입을 주장했다. 성 교수는 대학의 분권형 운영체계 및 대학 자치와 학생상담학점제 도입을 내세웠다. 오 교수의 주요 정책은 서울대의 공공성 강화와 입시제도를 통한 중·고교 교육의 정상화 등이다.
앞선 평가에서는 오 교수가 1위, 강 교수와 성 교수가 공동 2위를 했다. 학내 여론도 오 교수의 우위를 점치는 분위기다. 그러나 최종 후보는 원점에서 이사회 투표로만 결정되기 때문에 누가 선출될지 예측하기 어렵다.
이들 가운데 선출된 한 명이 제26대 총장이 되며, 교육부 장관의 제청과 대통령의 임명을 거쳐 7월20일부터 4년간의 임기를 시작한다.
◆당면 과제 산적한 서울대…학생들 "신임 총장, 강한 리더십으로 돌파구 찾아야"=이번에 선출될 서울대 총장이 풀어야 할 숙제는 많다. 2011년 경쟁력 강화를 위해 법인화를 단행했지만 현재까지 뚜렷한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교수채용 비리 등 학교 '순혈주의' 문제가 여론의 질타를 받고 있으며, 진보교육감들의 대거 당선 이후 '서울대 폐지론'도 불거지고 있는 상황이다.
김태원 새누리당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 기준 서울대 전체교원 2164명 중 1832명(84.7%)이 모교 출신이다. 이는 39개 국립대 평균(31.9%)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지난해 상반기엔 서울대 신규채용 교수 48명 가운데 36명이 서울대 학부 출신이었으며, 서울대 학부 출신 교수 중 36%는 석·박사 학위도 모두 서울대에서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의 한 사립대 교수 박모(57)씨는 "채용 과정의 폐쇄성은 인맥으로 점철된 서울대 순혈주의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며 "이러한 구조의 개혁 없이 서울대의 혁신은 무의미하다"고 꼬집었다.
신임 총장이 넘어야 할 산은 또 있다. 6·4 지방선거 당시 진보교육감들은 서울대 폐지를 핵심으로 하는 '국공립대 통합 네트워크'를 공동 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서울대 학생들의 거센 반대가 이어지고 있어 이들을 달래고 서울대의 위상을 지키는 것이 신임 총장의 첫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 학생들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신임 총장에게 요구되는 조건으로 '강한 리더십'을 꼽았다.
서울대 3학년생 김정원(28·가명)씨는 "사교육 걱정 없이 서울대에 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게 아니라 서울대를 없앨 생각을 하는 것이 정상적인가"라며 "이번 신임 총장은 과감한 결단력과 판단력으로 과거부터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국공립대 통합 논란을 확실히 잠재워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학생 유모(24·여)씨 역시 "역대 총장들에게는 과감한 리더십이 없었다"며 "법인화 이후 첫 간선제 총장인 만큼 학생들을 위해 제대로 된 역할을 해줬으면 좋겠다"고 기대했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