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대섭 기자] 보험회사 수익구조가 사업비차익 중심보다는 위험률차익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를 통해 비차익 중심의 수익구조로 인해 형성된 보험산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김석영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18일 "보험회사는 비차익 중심보다는 보험의 본업인 위험관리를 통한 위험률차익 중심의 수익구조로 전환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위험률 산출과 관련된 규제 개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위험률차익은 보험회사의 본질적 역할인 위험의 인수 및 관리를 통한 이익이다. 보험계약자는 불확실성을 보험회사에 전가하는 대가로 비용을 지불할 용의가 있고, 다양한 위험 보장 및 관리 노력은 사회후생을 증대시킬 수 있다.
김 연구위원은 "더불어 위험률차익 중심의 수익구조 개선은 보험사의 기본역량 향상, 다양한 상품 개발, 인구구조 변화에 대한 효율적 대응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위원은 위험률차익 향상을 위해서 보험사는 언더라이팅(계약심사), 지급심사, 그리고 상품개발 능력과 같은 보험사의 기본역량 향상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핵심역량 강화를 통해 보험사의 해외진출도 용이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김 연구위원은 위험률차익을 위한 충분한 안전할증은 장기보장 등 다양한 상품 개발을 가능하게 해 소비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 위험률차익 중심의 수익구조를 위한 충분한 안전할증 허용은 보험사가 고연령층에 대한 리스크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연구위원은 "위험률차익 중심의 수익구조 개선을 위해 위험률 산출에 대한 규제를 해소해야 한다"며 "위험률 산출 시 통계적 변동성에 대한 안전할증 뿐만 아니라 추세 변화에 따른 안전할증도 함께 고려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위험률차익 중심으로 수익구조가 개선된다고 하더라도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적정 이익의 확보와 보험산업에 대한 자율성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19일 서울 소공동 조선호텔에서 보험회사 최고경영자 초청 조찬회가 열린다. 이날 김 연구위원은 '보험회사 수익구조 진단 및 개선방안'을 주제로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