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중산층, 너무 다른 '현실과 이상'

시계아이콘00분 54초 소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중산층에 속하는 우리나라 국민 중 자신이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비중은 45%에 불과하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나온 결과다. 가구소득이 중간값(중위소득)의 50~150%에 해당하는 중산층 국민 100명당 55명은 자신을 저소득층으로 인식하고 있는 셈이다.


공식 통계상 중산층과 심리적 중산층 간 괴리가 매우 크다. 최근 몇 년 새 괴리는 더 벌어졌다. OECD 기준 중산층 비중은 2009년 63.1%에서 지난해 65.6%로 2.5%포인트 확대됐다. 반면 모든 계층에 걸친 심리적 중산층 비중은 같은 기간 54.9%에서 51.4%로 오히려 3.5%포인트 축소됐다.

더 과거로 올라가 1990년대 초반과 비교하면 차이가 확연하다. 당시 소비자보호원 설문조사에서 '우리집은 중산층'이라고 대답한 비중이 81%에 달했다. 중산층 귀속의식을 가진 심리적 중산층 비중이 20여년 새 30%포인트나 줄었다.


이는 서민들이 체감하는 소득 양극화와 빈부격차 확대를 반영하는 현상이다. 사교육비와 가계부채 부담 증가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현실에서 겪는 가계재정 압박과 사회적 박탈감이 저소득층을 넘어 중산층에도 폭넓게 확산되고 있다. 이런 현상은 사회통합을 저해해 사회불안ㆍ정치불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가계의 소비지출을 억제해 내수부진을 고착화시킬 수도 있다. 실제로 우리 국민의 가처분소득 기준 평균 소비성향은 2000년 81%에서 2013년 73%로 낮아졌다.


현대경제연구원 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 국민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모습은 이렇다. '가구당 매달 515만원을 벌어 341만원을 쓴다. 115.4㎡(34.9평)짜리 주택을 포함해 6억6000만원의 순자산을 보유하고, 한 달에 네 번 가족이 함께 외식을 즐긴다. 소득 중 2.5%를 기부후원하고 무료 봉사활동을 한다.' 실제 중산층의 현실은 소득 416만원, 기부후원 비중 1% 등으로 그에 훨씬 미달한다.


박근혜정부가 '중산층 70% 회복' 공약을 통계수치만으로 달성하려 해서는 부족하다. 통계상 중산층은 실제 중산층과 다르고, 심리적 중산층과는 거리가 더 멀다. 소득불평등 완화와 가계재정 개선을 통한 체감형 중산층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