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남북한 무형유산 교류 추진…11월 北아리랑 유네스코 등재여부 결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7초

남북한 무형유산 교류 추진…11월 北아리랑 유네스코 등재여부 결정 이삼열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사무총장
AD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이달 말 몽골에서 남북한 무형유산에 대한 교류의 장이 열린다. 같은 민족으로 유사한 무형유산을 지닌 남북이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협력체계를 구축할 전망이다. 재작년 말 우리나라가 민요 '아리랑'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한 데 이어 북한에서도 오는 11월 아리랑의 유네스코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는 오는 30일부터 7월 1일까지 이틀간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동북아시아 무형유산보호 협력회의'를 개최한다. 남한과 북한, 중국, 일본, 몽골 등 5개국이 모이는 이번 회의에서는 각국 정부관계자와 무형유산 전문가 50여명이 참석해 ▲동북아 무형유산 기록화 공동협력 사업 ▲북한 무형유산 보호 현황 파악 ▲남북한 무형유산 교류 활로 개척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에 가입한 회원국 대표 참가자로 북한에서는 로철수 북한무형유산보호청 차장 등 6명이, 우리나라에서는 함한희 전북대학교 교수(고고문화인류학 전공)와 문화재청 관계자가 이 자리에 나설 예정이다. 10일 오전 서울 경복궁 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삼열 아태무형유산센터 사무총장(사진)은 "문화 분야에서 남북이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는 평화·공존 회의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사무총장은 "남북한, 중국, 일본은 비슷한 문화양식과 유산들이 많다. 동북아시아 국가들이 공동의 문화유산을 발굴하는 것이 앞으로 굉장히 중요할 것"이라며 "특히 남북한은 서로의 무형유산에 대한 이해와 교류가 무엇보다 필요해 이번 회의가 좋은 시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앞으로 아리랑 외에도 김장문화, 막걸리 담그기, 장 담그기, 치마저고리 차림풍습, 평양냉면, 연백 농악무 등에 대한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추진 중이다. 우리나라는 올해 '농악', 내년엔 '줄다리기', 2016년 '제주 해녀문화'의 등재를 앞두고 있다. 줄다리기의 경우 캄보디아, 베트남, 필리핀과 함께 4개국이 공동등재를 추진해 내년에 심사를 받을 예정이다. 만약에 등재가 결정되면 첫 공동등재 사례가 된다.

이 사무총장은 "지난 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5차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여러 나라의 비슷한 유산이 등재 추진될 시 가급적 공동등재로 신청하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여진 바 있다"며 "개별국가에서 등재 신청 과열현상이 일자 유네스코 본부에서는 공동등재를 통해 유사한 무형유산일 경우 등재목록에 해당 국가를 추가하는 등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사무총장은 또 "애초에 우리나라 아리랑의 등재를 추진할 때도 남북한 공동등재를 염두에 뒀지만 중국에서 '대한민국의 아리랑'으로 명시토록 강력하게 요구한 바 있다"고 언급했다.


분단된 남북한이 공동으로 지닌 무형문화유산은 '아리랑' 뿐 아니라 수도 없어 이러한 유네스코의 방향이 앞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관심을 끄는 대목이다. 오는 11월 북한 아리랑 등재에 대해서도 추후 남북한 공동등재가 추진될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다.


아태무형유산센터는 지난 2003년 유네스코에서 무형문화유산협약이 채택된 이후 2005년 협약에 가입한 회원국들이 모인 총회에서 아태지역 무형유산 보호와 진흥을 위해 설립이 추진됐었다. 이후 2011년 한중일 3개국에서 각각 ▲정보·네트워킹 ▲교육 ▲리서치 등으로 역할을 나눠 센터들을 건립한 바 있다. 현재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에 가입한 국가는 161개국으로, 이 중 아태지역 국가는 48개국이다.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