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보육교사 해법, 남경필 '처우개선' vs 김진표 '공무원 전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아시아경제 최은석 기자] 남경필 새누리당, 김진표 새정치민주연합 경기지사 후보가 '보육 정책' 해법을 놓고 설전을 벌이고 있다.


김 후보가 '보육교사 공무원 전환'을 공약하며 촉발된 논란은 남 후보가 '보육 교사 처우개선'이란 새로운 해법을 제시하면서 가열되고 있다.

처음 김 후보의 공약을 '포퓰리즘'이라 비판하던 남 후보와 새누리당은 도 재정을 고려한 '처우 개선'으로 방향을 틀었다.


남 후보는 이날 논평을 내고 "보육교사 처우개선을 위해 경기도 재정 여건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지원하겠다"며 해법으로 '보육 준공영제' 도입을 내놨다.

남 후보가 제시한 '보육 준공영제'는 민간이 서비스를 공급하되 재정지원은 공공이 맡아 보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겠다는 것으로 '보육교사 수당제 도입'과 '보육시설 개선' '보육비 현실화'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가장 큰 핵심은 '수당제 도입'이다. 현행 140만원 정도의 보육교사 임금수준을 점진적으로 190만원까지 인상하겠다는 것이다. 남 후보 측은 2012년 보육교직원 근무실태 보고서와 올해 정부의 보육교직원 인건비 지급 기준을 근거로 50만원 임금 인상을 계획했다고 한다.


아울러 보육시설 개선과 관련해서도 환경개선 보수비 지원을 통해 보육교사들의 근무환경은 물론 아이들의 안전 부분도 보완할 계획이다.


반면 김 후보는 보육교사 7만 여명의 공무원 전환을 주장하고 있다. 김 후보는 이날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2019년까지 전국 모든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공무원화 하는데 들어가는 돈은 현재 기준으로 2조7000억 원이며 경기도가 부담할 금액은 2100억"이라며 "보육교사 공무원화 목적은 '엄마 행복'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김 후보 측 선대위도 논평을 내고 "이제와 자신의 말을 뒤엎고 상대후보의 공약을 베끼기 수준으로 복사해 발표하는 남 후보는 보육과 교육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부터 정립해야 한다"며 총력전에 나섰다.




최은석 기자 chami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