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미만 1000명에 29명 사망...한국의 7배,중국의 두배 수준
[아시아경제 박희준 외교·통일 선임기자]북한의 식량생산량이 최근 3년 연속 5%씩 증가했지만 식량부족 상태는 여전해 영양상태는 세계 꼴지수준이라고 세계은행이 지적했다.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최근 세계은행이 발표한 세계발전지표를 인용해 24일(현지시간) 이같이 보도했다.
세계은행이 지난주 발표한 2014년 세계발전지표는 식량, 건강, 경제, 교육, 환경, 정보화, 해외원조 등 북한 사회 전반을 수치로 담고 있다.
이에 따르면, 5세 이하 북한 어린이 다섯 명 중 한 명이 영양 실조를 앓고 있고, 주민 세 명 중 한 명은 건강 유지를 위한 영양분 섭취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세계은행은 최신 정보인 2012년 유엔의 조사에서 영양실조로 저체중인 5세 이하 북한 유아의 비율이 전체의 19%라고 분석했다.
5살이 되기 전에 사망하는 유아의 수는 2012년을 기준으로 1000명에 29명으로 3년 전인 2011년 조사의 33명 보다 조금 줄었다.
그러나 1000명에 4명 꼴인 한국의 5세 이하 사망률과 비교하면 7배 가량 높고 중국의 14명과 비교해도 두 배가 넘는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5세를 채우지 못하고 사망하는 어린아이의 비율이 가장 높다고 RFA는 전했다.
세계은행의 세계발전지표는 북한이 2015년까지 굶주림을 절반으로 줄이자는 유엔의 ‘새천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를 이행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RFA는 꼬집었다.
임신과 관련한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북한 산모의 수는 2010년 기준 10만명에 81명으로 동아시아에서 가장 많았다. 몽골 63명, 중국 37명, 한국 16명, 일본 5명보다 월등히 많았다.
북한 인구 10만 명 당 결핵환자의 수는 2012년 기준 409명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2007년 평균인 117명보다 많았다. 몽골 223명, 중국 73명, 한국 108명, 일본 19명조가 월등히 많다.
새천년개발계획(MDG)의 10개 항목 중 하나인 정보화에서도 북한은 크게 뒤쳐져 있다. 2012년 기준으로 휴대폰(손전화) 보율 비율은 인구 100명당 7명으로 7%였다.반면, 같은 연도 동아시아 지역은 열 명의 아홉 명꼴인 89%가 손전화를 보유하고 있다.
정보화 진척의 척도인 인터넷, 즉 컴퓨터로 전세계의 소식을 접할 수 있는 정보망의 보급율을 보면 북한과 외부 세계의 간극은 더 크다. 북한의 인터넷 보급률은 0%로 세계은행이 집계한 200여국 중 개인의 인터넷 접속을 완전히 통제하는 나라는 북한이 유일하다. 세계 평균은 35.5%이며 동아시아는 36%라고 RFA는 전했다.
한국의 인터넷 이용 주민의 비율은 84%이며 북한보다 소득 수준이 낮은 세계 최빈국들의 평균 인터넷 접속 비율은 6%이다.
이와 함께 세계은행은 북한이 2012년 국제개발 원조로 4760달러를 지원받았다고 집계했다. 가장 많은 원조금을 지급한 나라는 캐나다로 820만 달러를 지원했으며 이어 유럽연합(680만달러), 스웨덴(600만달러), 독일(310만달러),미국(240만달러),호주(210만달러) 등의 순이었다.
박희준 외교·통일 선임기자 jacklon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