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의류공장 참사 1년…방글라데시, 변한게 없다

시계아이콘01분 2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피해보상·업무환경 개선·안전조치 등 이행 안돼…유럽·美 기업 사후대책 이견

의류공장 참사 1년…방글라데시, 변한게 없다
AD


[아시아경제 조목인 기자]1135명의 목숨을 앗아간 방글라데시 라나플라자 의류공장 붕괴사고가 24일로 1주년을 맞는다.

사고 당시 방글라데시 정부는 의류공장 종사자들의 업무환경 개선을 약속했다. 방글라데시에 진출한 해외 의류회사들은 철저한 안전점검과 재발방지를 선언했다. 영국 경제 일간 파이낸셜타임스 등 외신들은 그러나 1년동안 피해자 보상에서부터 노동환경 개선에 이르기까지 어느 하나 제대로 된 것이 없다고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의류 공장주들의 모임인 '방글라데시 의류생산 및 수출업자 협회(BGMEA)'가 사고 이후 지금까지 확인한 시신은 322구다. 전체 실종자의 30%도 채 안 된다. 그나마 DNA 검사 등을 통해 신원을 확인한 시신은 250구에 그친다. 시신을 찾지 못한 실종자 유가족들은 보상받을 길도 없다.

공장 안전점검 등 개선조치 역시 더디기만 하다. 방글라데시에 진출한 외국기업들은 사고 이후 안전검사 강화에 합의했다. 디젤 발전기나 가연성 물체 등을 이동시키고 스프링쿨러·비상구 설치, 공장이전 등도 시행하기로 했다. 그러나 업체별로 이견이 많은데다 강제성도 없어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사후 대책 마련을 놓고 유럽 기업들과 미국 기업들이 엇갈린 행보를 보이고 있다. 참사 발생 후 유럽 기업들은 방글라데시 의류 노조들과 함께 '화재방지 및 건물안전 협약'을 만들었다. 스웨덴 의류업체 H&M과 스페인 의류회사 인디텍스, 영국 유통업체 테스코 등 150여개가 넘는 기업들이 이 협약에 서명했다.


이를 통해 유럽 기업들은 공동기금을 마련해 사고 피해복구를 도왔다. 자체 안전감사를 실시해 기준에 미달하는 공장을 폐쇄했다. 문을 닫은 공장수가 8곳으로 적고 개선조치가 미흡하다는 비판도 있다. 하지만 그나마 미국 기업들에 비해서는 낫다.


유럽 기업들이 중심이 된 협약에 서명을 꺼리던 미국 기업들은 '방글라데시 노동자 안전 동맹'이라는 자체 조약을 만들었다. 그러나 이에 서명한 미국 기업들은 26곳에 불과하다. 월마트·갭·메이시스 등 주요 기업들은 여전히 서명을 거부하고 있다. 서명을 한 기업들도 공동기금이나 법적 구속절차 마련을 완강히 거부하고 있다. 또 협의 주체에 방글라데시 노조를 포함시키는 데에도 반대의사를 표시하고 있다.


미국의 노동자 인권감시기관 노동자권리협회(WRC)의 스콧 노바 상임이사는 "유럽 기업들의 안전 기준을 적용한다면 미국 기업들은 최소한 15~20곳의 공장 문을 닫았어야했다"면서 "그러나 사고 이후 제대로 된 안전조치를 시행하거나 공장을 폐쇄한 기업은 찾아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지난해 말 의류공장 노동자들의 월 최저임금을 5300다카(약 7만원)로 올려줬다. 사고 이후 노동자들의 처우를 개선하라는 국제적 압력에 밀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여전히 다른 동남아 의류업계 임금보다 낮다. 방글라데시 노조는 의류부문 노동자 420만명이 여전히 열악한 노동환경에서 매일 12시간의 중노동에 시달리고 있다고 주장한다.


사고 이후에도 해외기업들은 활발히 방글라데시에 진출하고 있다. 중국이나 다른 동남아시아에 비해 여전히 생산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의류산업은 방글라데시 수출의 77%, 국내총생산(GDP)의 17%를 차지한다. 지난 2월 방글라데시의 의류 수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9.7% 증가했다.




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