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물인터넷 해킹피해, 2015년 13조원 육박"

시계아이콘00분 5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모든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시대가 한발 앞으로 다가왔지만 자칫 악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개인정보 유출에서 그쳤던 보안사고가 교통망 마비나 대규모 정전 사태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경고다.

21일 산업연구원은 '사물인터넷 시대의 안전망 융합보안산업' 보고서에서 갈수록 빈번해지고 피해규모는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보안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국내 융합보안 피해는 GDP 1% 규모로 추정했을 때 2015년 13조4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오는 2020년 17조7000억원에서 2030년에는 26조7000억원으로 늘어나며 국가 신용도 하락과 2차 피해 등 피해규모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연구원은 분석했다.

아울러 융합보안사고는 제조업, 서비스업, 국가기반시설 등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제조업에서 보안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수요를 감소시킬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스마트카에서 보안사고가 발생해 국산 자동차의 최종수요가 10% 감소한다면 연간 약 24조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스마트폰은 피해액이 약 16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 정보보안 관리·감독 체계가 분야별로 분산돼있어 국가 차원의 복합적인 보안사고 발생 시에는 기관 간의 정책 혼선이 우려된다고 경고했다.


현재 사이버보안을 위해 국가·공공 분야는 국가정보원의 국가사이버안전센터가, 민간분야는 방송통신위원회의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사고대응센터가, 국방분야는 국군사이버사령부에서 각각 임무를 분담하고 있다.


선진국은 정보보호 인력약성을 위해 체계적인 지원을 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사고 발생 후 일시적인 피해수습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황원식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보안피해는 국가 차원에서 전방위적으로 확산될 수 있어 방재·안전시스템과 유기적으로 결합해 사고피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관설립이 시급하다"며 "국내 IT산업 인프라를 기반으로 산업 간 협업이 필요하고, 국제표준을 선도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