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명진규 기자]지금까지 국내 노동시장에선 오래 일한 사람이 적게 일하고 돈도 많이 받는 연공서열형 임금구조가 일반화 돼 있었다. 이렇다 보니 직장 후배가 상관으로 올 경우 막대한 스트레스로 인해 회사를 떠나는 일도 일반화 됐다.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가 정착되면 회사 입장에선 노련한 숙련공들의 경험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게 되고 합리적인 임금 테이블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노동자 입장서도 일정 시기를 지나면 은퇴하는 대신 육체적인 노동 강도를 줄여가며 은퇴를 준비할 수 있게 된다.
노동시장 환경과 문화도 크게 바뀔 전망이다. 베이비붐 세대의 고도성장기에 만들어진 연공서열형 임금구조에서 벗어나 노령화 시대를 준비하는 합리적이면서도 유연한 노동문화 정착을 위해서도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는 꼭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28일 삼성그룹은 오는 2016년 만 60세 정년연장 시행을 2년 앞두고 이달부터 60세 정년연장, 임금피크제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각 계열사 사원협의회는 사측과 정년을 종전 55세에서 60세로 연장하고 55세를 기준으로 매년 10%씩 임금을 줄여나가기로 했다.
삼성그룹이 두 가지 제도를 앞당긴 까닭은 2년 뒤 정년연장 제도가 시행될 경우 1959년, 1960년생은 법 적용의 혜택을 받을 수 없다는 점 때문이다. 어차피 2년 뒤에 도입해야 할 조치라면 선제적으로 시행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는 의도다.
◆LG, 포스코, GS 등 국내 주요 기업 수년전부터 임금피크제 도입=이미 LG, 포스코, GS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은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다만 정년연장 나이나 임금구조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같은 회사에서 사무직과 생산직을 별도로 구분한 회사도 있다.
LG그룹은 지난 2007년부터 주요 계열사 직원을 대상으로 58세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를 실시하고 있다. LG전자는 정년을 58세로 3년 연장하고 56세부터 임금을 해마다 10%씩 줄이고 있다. LG디스플레이의 경우 정년은 58세, 53~55세는 임금 동결, 56세부터 58세까지는 임금을 매년 10% 감액하는 방식을 적용중이다.
특히 우수 연구개발(R&D) 인력과 생산직 엔지니어들이 지속적으로 근무하겠다고 할 경우 정년 퇴임 시기인 58세에 인재개발위원회 심사를 거쳐 더 근무할 수 있게 하는 '정년 후 연장근무제도'도 도입하고 있다. 3년 단위로 계약을 갱신할 수 있다.
포스코 역시 지난 2011년부터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2011년 만56세였던 정년 퇴직 연령은 현재 58세다. 퇴직 후에도 2년간 재고용이 가능해 사실상 60세로 정년이 연장됐다. 57세부터는 매년 10%씩 임금을 줄여나간다.
현대중공업 역시 2012년 모든 직원의 정년을 만 58세에서 60세로 연장했다. 임금피크제와는 다소 다른 '개인별 직무 환경등급'을 정해 임금 수준을 조절하고 있다.
GS칼텍스 역시 지난 2012년부터 정년을 58세에서 60세로 2년 연장한 뒤 연장된 2년 동안의 급여는 직전 기본급의 80% 수준을 적용하는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GS칼텍스 관계자는 "법제화 이전에 노사합의로 정년 연장이 결정돼 임직원의 만족도가 높다"며 "업무 경험이나 노하우 등을 전수할 수 있어 업무생산성 등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기업 대부분 임금피크제 도입 검토, 일각에선 실효성 의문 제기도=아직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를 도입하지 않은 회사들도 법 시행을 앞두고 도입 검토에 나섰다. 대기업들은 일제히 도입의사를 표명했지만 중소업체들은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표시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정년연령을 60세로 늘렸다. 임금피크제의 경우 시행시한이 2년 남은 만큼 충분한 검토를 통해 준비한 뒤 실시할 계획이다. 아시아나항공은 현재 55세인 정년을 60세로 늘리는 것과 임금피크제 도입을 검토중이다. 한진해운, 현대상선은 현행 정년인 55세, 58세에서 60세로 정년을 연장하고 임금피크제 도입을 적극 검토중이다.
중소기업은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중소기업이 많은 운송업계 관계자는 "통상 입사 20년 이내에 부장에 오르면 40대 후반인데 부장직에 15년 이상 머물러야 60세가 된다"면서 "전체적으로 승진을 늦춰야 하는데 노동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자동차 업계는 노사와의 임금 갈등이 변수다. 현대차는 2011년부터 정년이 만 60세로 연장됐다. 임금피크제의 경우 노사가 함께 임금체계개선위원회를 만들기로 합의해 올해부터 가동된다. 위원회 발족과 함께 임금피크제 등에 관한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중소기업 등 일각에선 임금피크제와 관련한 회의적인 시각도 있지만 재계는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가 정착될 경우 연공서열 중심의 노동문화가 합리적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정년연장 및 연공서열 중심의 임금 구조로 인해 업무에 비해 과도한 임금을 받는 사례가 많았는데 임금피크제가 정착될 경우 이런 사례들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며 "기업 역시 연장자들의 경험을 최대한 활용하고 합리적인 임금 테이블을 제시할 수 있어 노사 모두 윈윈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명진규 기자 ae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