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백종민 기자]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테이퍼링)가 진행되는 가운데 국제통화기금(IMF)이 선진국의 경기부양책 지속을 주장하고 나섰다. 통화정책을 바꾸더라도 타국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한 조심스러운 행보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IMF는 호주 시드니에서 이번 주말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장 회의를 앞두고 19일(현지시간) 낸 보고서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이번 회의에서 예상되는 미국의 테이퍼링과 이에 대한 신흥국의 반발과 관련, IMF가 신흥국의 편을 들어준 셈이다.
IMF는 "G20을 포함한 선진국이 아직 세계 경제 성장을 이끌고 있다"며 "세계 경제가 2008년 시작된 세계 금융 위기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만큼 생산 확대와 수요 창출을 위해 더 협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경제 회복이 실망스러운 수준이고 선진국의 경기ㆍ고용 지표 또한 장기적 추세에서 평균 이하라는 것이다.
아울러 미국이 양적완화(QE) 규모를 점차 줄여나가는 이른바 테이퍼링에 착수하고 나서 신흥국 금융 시장이 동요하고 있다면서 자본 유출과 고금리, 통화가치 급락 등이 핵심 우려 사항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테이퍼링 등 선진국의 긴축 정책이 다른 많은 나라의 성장률을 더 끌어내릴 수 있다는 점과 유럽 디플레이션이 지난 몇 년간의 경기 회복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드는 동시에 예기치 않은 시장 충격을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때문에 IMF는 선진국이 경기 부양 정책을 더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변칙적 통화 정책을 거둬들이는 조처를 하더라도 다른 국가에 주는 파급 효과(스필오버)를 최소화하기 위해 긴밀하게 협력하고 충분하게 소통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IMF는 "회복은 아직 미미하고 상당한 하방 위험이 남아 있는 상태로, 신흥국의 구조 개혁 노력과 선진국의 수요 창출 노력이 동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G20회의를 개최하는 조 호키 호주 재무부 장관은 하루 전 파이낸셜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QE는 진통제와 같은 임시 방편"이라며 미국의 테이퍼링을 지지했지만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이 신흥국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미국이 자국 내 문제에만 관심 있을 뿐 신흥국에 대해서는 무관심하며 유럽 국가들도 자기중심 사고에 빠져있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라구람 라잔 인도 중앙은행 총재도 선진국 중심의 테이퍼링에 반발하고 있는 인사다. IMF 근무 시 2008년 금융위기를 예고했던 라잔 총재는 선진국의 통화정책이 최근 신흥국 위기의 원인이라고 주장하며 테이퍼링 정책에 대한 노골적인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
백종민 기자 cinq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