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한국형 직업교육으로 입시病 고치자

시계아이콘01분 00초 소요

[아시아경제 ]우리 사회의 많은 문제는 교육과 관련돼 있다. 자녀가 어릴 적부터 영어교육과 선행학습 등 사교육에 목돈을 써 가계가 휘청댄다. 전문계 고등학교를 마다하고 일반계 고교와 대학에 진학하지만, 현실은 대학을 나와도 맘에 드는 일자리 구하기가 너무 힘들다. 그 결과 청년실업이 심각해지고 연애ㆍ결혼ㆍ출산을 포기하는 '삼포세대'로 연결되는 등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치르고 있다.


이런 면에서 어제 고용노동부가 올해 업무보고에서 제시한 직업훈련 혁신 3개년 계획이 눈길을 끈다. 일반계 고교생의 신청을 받아 폴리텍ㆍ기술대학에서 산업현장 수요에 맞는 기술교육을 실시한다. 청소년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강소기업 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선(先)취업 후(後)학습' 내지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직업교육을 교육과정의 하나로 자리잡도록 하겠다는 방향은 잘 잡은 것 같다. 그러나 입시를 최우선으로 여겨온 교육 시스템과 사회 분위기를 바꾸는 일이 그리 쉽지 않을 것이다. 청소년의 취향과 적성, 산업현장 수요, 미래 변화 트렌드 등에 맞춘 보다 정교한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고용노동부ㆍ산업통상자원부ㆍ교육부 등 관련 부처가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직업훈련 교육을 강화하겠다며 외국 제도를 들여오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스위스 방문 때 직업학교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하자 관련 부처들이 앞다퉈 이를 본뜨려고 현지 방문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한다. 스위스 직업학교와 같은 개념은 이미 우리에게도 있다. 이명박 정부의 업적으로 평가받는 마이스터고교를 더욱 활성화하는 것이 방법이다.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등 전문계 고졸자의 지난해 취업률은 77.4%로 2011년 보다 1.5%포인트 높아졌다. 전 정권의 성과라고 폄하하지 말고 고졸 채용 장려 정책과 더불어 계승 발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대학 진학률은 71.3%로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청년 고용률은 39.7%로 최하위 수준이다. 이 같은 고비용ㆍ저효율 구조로는 선진사회로 가기 어렵다. 가계의 지나친 교육비 부담을 낮춰야 내수 활성화도 가능하다. 직업교육을 마치면 취업이 되고 일한 만큼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 학벌이 아닌 능력 중시 사회로 가야 나라의 미래가 보장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