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데스크칼럼]일본의 궤변과 한국외교의 해불양수(海不讓水)

시계아이콘01분 43초 소요

[데스크칼럼]일본의 궤변과 한국외교의 해불양수(海不讓水)
AD

최근 일본의 정치 지도자와 유력 사회 인사들이 하는 발언을 보면서 떠올린 단어가 두 개가 있다. 바로 궤변과 억지다. 사실 둘은 뿌리가 같은 말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사전상의 정의는 이렇다. 도리에 맞지 않는 말을 도리에 맞는 것처럼 억지로 꾸며대는 말이 궤변이다. 또 상대편을 이론으로 이기기 위해 상대방의 생각을 혼란이나 감정의 격앙을 이용해 참이 아닌 것을 참인 것처럼 꾸며대는 논법이다. 한마디로 억지로 말을 꾸민다는 뜻이다.

일본이 태평양 전쟁을 일으켜 한국과 중국, 필리핀 등지에서 수많은 무고한 생명을 사지로 몰아넣었음은 역사가 웅변하는 사실이다. 일본군의 성을 위해 한국과 중국의 부녀자를 강제 징용해 성 노예로 부렸다는 사실이 최근 성균관대학교와 상하이사범대학교가 공동주최한 국제학술대회에서 사료들을 파헤친 학자들에 의해 드러났다.


한국은 독도에 주민이 산 지 오래이고 좀 유식한 말로 하자면 '실효지배'를 한 지 오래인 나라이다.

사정이 이렇지만 일본은 독도가 '다케시마'라고 억지를 부린다. 독도에 어디 대나무가 자라는가? 일본은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하는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에 대해 자기들이 실효지배했다는 논리를 펴는 이율배반의 모습도 서슴지 않지만 유독 한국에 대해서는 귀를 닫는다.


그들이 강제로 징용하거나 납치해 만든 일본군 위안부들이 정신과 육체가 파괴되고 본인과 가족들이 통한의 삶을 살다 생을 마감했는데 강제성이 없었다고 우기고 아예 위안부가 없었다고 주장하는 뻔뻔스러움을 보인다.


어디 이뿐인가? 군국주의 상징물인 야스쿠니 신사를 총리가 참배하고서도 '개인자격'으로 참배했다고 궤변을 늘어놓았다. 일본군에 징용당해 목숨을 잃은 조선인들을 신사에서 빼달라고 해도 "신이 됐기 때문에 불가능하다"는 말도 안 되는 논리를 둘러대면서 후손들의 가슴에 못을 박고 있다.


일본이 궤변을 늘어놓는 것은 시대착오이자 퇴행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시대가 달라지고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들의 경제 위상이 높아졌는데도 일본은 한국 등을 여전히 핍박하고 압살해도 '찍소리 하지 못하는' 존재로 내려다보는 습성을 버리지 못한 결과다. 최근 들어서는 미국의 아시아 회귀 정책을 빌미 삼아 아베 신조 총리와 공영방송 NHK 회장 등 일본 사회의 지도층 인사들이 퇴행적 사고의 선봉에 서 있다.


과연 한국은 어떻게 일본을 대해야 할까? 일본은 우리의 교역상대국 중 중요한 국가이고 우리 교민들이 많이 사는 나라여서 인연을 끊을 수도 없는 나라다. 밉상이자 계륵이다. 일본이 1904년 러일 전쟁 승전 이후 국제 무대에서 위상을 정립한 이후 축적한 부와 국제사회에 마련한 유대관계는 한국이 하루아침에 깨부수기 어려운 현실이다. 그렇다고 해서 저런 퇴행을 두고 보는 우리의 후손을 위해 온당하지 않은 일이다.


외교부에 한 가지 방법을 제안하고 싶다. 바로 북한의 비핵화를 유도하기 위한 압박과 비핵화 대화의 병행전략을 원용하라는 것이다. 국제사회를 통한 압박과 과거사에 대한 통절한 반성을 이끌어내는 대화가 그것이다. 다행히 일본 내에는 '무라야마 담화'의 주인공인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총리(村山富市ㆍ90)와 같은 양식 있는 지식인들이 적지 않다. '양순한' 일본 지성을 국제사회가 일깨워 일본 정부를 압박하도록 해야 한다. 우리가 혼자 나서거나 중국과 합세해 몰아세운다면 반발만 할 게 뻔한 탓이다.


최근 일본군이 위안부 강제징용과 위안소 운영에 직접 관여한 사료를 폭로한 한ㆍ중ㆍ일 학술토론회는 좋은 예이다. 명심할 것은 우리가 일본을 차별하는 국가가 아님을 분명히 하는 일이다. 그럴 경우 우리는 정신수준이 일본과 같은 수준의 나라로 전락하게 된다. 바닷물은 어떤 강물도 물리치지 않고 받아들이는 대승적 포용의 자세인 해불양수(海不讓水)의 자세로 일본 스스로 반성하고 인정하도록 하는 외교력을 발휘해야 한다.






박희준 외교ㆍ통일 선임기자 jacklon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