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월세 총각, 결혼도 딱지 맞고 ‘한숨貰月’

시계아이콘01분 16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격동하는 집의 경제학 1-5] 30대 주거빈곤층

-30대 직장인ㆍ신호부부… 월세부담 갈수록 증가
-전세→월세 전환 급증, 강제보다 안착 유도가 우선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 광화문 소재 대기업에 근무하는 도정인(31·가명)씨는 지난해 가을 결혼을 앞두고 사귀던 여성과 헤어졌다. 무슨 일이 있어도 월세만은 안 된다는 애인 부모의 요구 때문이다. 도씨는 당산동의 전세 아파트를 구하는 데 드는 대출금과 대출이자, 관리비 등을 모두 감안하면 월세가 더 경제적이라고 설명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월세 총각, 결혼도 딱지 맞고 ‘한숨貰月’ 주거비 부담에 결혼까지 못하는 30대가 늘고 있다. 30대 초반이나 가족을 구성하기 시작한 신혼부부를 위한 주거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AD

한겨울이 시작되기 직전인 11월 말 광화문 일대에서 만난 이충환(30·가명)씨는 담배부터 꺼내물면서 고민을 털어놨다. 대학 졸업 후 직장에 들어간 지 2년이 흘렀지만 아직도 종암동 월세촌을 벗어나지 못했다며 한탄했다. 이씨는 '브리지'가 없다며 지금의 주택시장을 불평했다. 대학생들이 졸업 후 직장을 갖게 되더라도 결혼 직전까지 머물며 목돈을 마련할 저렴한 전세가 없다는 얘기였다. 이씨는 "우리라고 월세 살고 싶겠냐, 하지만 1~2인 가구가 지낼 전셋집이 없는데 어떡하냐"며 "월세로 결혼할 수 없는 상황에 결혼도 늦어질 수밖에 없다"고 털어놨다.


30대가 느끼는 월세 부담은 20대보다 더 치열하다. 20대가 부모님께 의지해 월세 부담을 덜었다면 직장인인 30대는 주거비 부담을 본인들이 직접 챙겨야 해서다. 고정 수입은 생겼지만 '그래도 전세'라며 치솟은 전셋값을 대출받기 위해 금융이자를 감당하기도 녹록지 않다. 직장인이 되면 월세촌을 탈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던 졸업반 대학생들은 30대가 된 후에도 그 자리에 있다. 신혼부부도 마찬가지다. 평수만 커졌지 다달이 내야하는 월세 부담은 여전하다. 여기에 장기 금융이자를 부담하기 싫다며 월세를 선호하는 신혼부부마저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월세 총각, 결혼도 딱지 맞고 ‘한숨貰月’

이 같은 월세 전환 추세에 가장 많이 끼인 세대 역시 결혼 전후에 놓인 30대다. 결혼을 앞둔 새내기 직장인이나 신혼부부들의 주택 수요가 꾸준하다 보니 월세로 전환되는 가구도 그만큼 늘어나서다.


그렇다고 지금의 '전세→월세 전환 추세'를 비난하는 것도 반시장적 판단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시장 경제에 따라 집주인들이 월세를 선호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지금의 추세를 강제로 조율할 경우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어서다.


다만 직장인으로서 자리 잡은 30대 초반이나 가족을 구성하기 시작한 신혼부부들이 지금의 추세를 자연스레 따라갈 수 있도록 안전한 길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증가하는 월세 수요에 적합한 세제 지원 등 다양한 정책 개발이 대표적이다. 조민이 에이플러스리얼티 팀장은 "장기적인 저금리 여파로 월세가 더욱 늘어나는 상황에서 월세 주 거주층인 30대 세입자들의 주거 관련 소비지출 역시 더욱 늘고 있다"며 "지금의 전환 추세를 바로잡겠다는 시각보다는 끼인 세대들의 주거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대안을 선보이는 게 우선"이라고 언급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