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회사채 펀드, 쪽박찬 이유있다"

시계아이콘00분 5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이혁재 IBK연구원, 운용사 잦은 CEO 교체 등 문제제기

[아시아경제 정재우 기자]'파리 날리고 있는' 회사채 펀드 시장과 자산운용업계를 향한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의 '돌직구' 발언이 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이혁재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5일 "웅진그룹 부도사태 등으로 실망한 투자자들이 이탈하면서 공모형 회사채 펀드는 악순환을 거쳐 이제는 존재감조차 찾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며 "이를 되돌리기 위한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부진 탈출 해법으로는 ▲운용사 특화 ▲초기 유동성 확보 ▲전문 운용인력 육성을 제시했다. 그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공모형 회사채 펀드를 키우겠다고 마음먹는 운용사, 다양한 전략을 구사할 수 있을 정도의 초기 투자자금 유치, 등급이 오를만한 회사를 골라낼 수 있는 안목을 갖춘 회사채 운용역 등이 전제되어야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국내 운용사들이 대부분 은행이나 대기업 계열이어서 최고경영자(CEO)가 자주 바뀌기 때문에 처음부터 운용철학을 기대한다는 것 자체가 어렵다고 꼬집었다. 또 다양한 회사채 투자전략을 구사할 수 있을 수천억원 규모의 자금을 끌어올 수 있는 능력도 역부족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등급이 오르면 수익률이 확확 오를 수 있는 시장에서 이를 골라낼 수 있는 안목을 가진 운용역이 있다면 좋겠지만, 아쉽게도 시장에 회사채 투자를 잘 할 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다"고도 했다. 결국 3가지 모두 쉽지 않은 해법일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현재 국내 공모 회사채펀드(상장지수펀드 포함)는 총 22개로 총액이 1400억원에도 못 미칠 정도로 규모가 미미하다. 가장 큰 펀드가 2011년 말 상장된 620억원 규모인데, 통상 채권이 100억원 단위로 거래되는 것을 감안하면 이 펀드조차 6개 종목에 투자하면 끝일 정도다. 17개 펀드는 설정액 50억원에도 못 미치는 자투리 펀드다.




정재우 기자 jj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