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은 국력이다" 외친, 박정희 산업정책의 뿌리, 포스코
5년새 영업익 5%대로 추락, 부채총액도 30조원으로 늘어
순혈·관료주의서 탈피가 관건…"존경받는 기업 만든다" 신뢰회복에 방점
[아시아경제 유인호 기자]"국민으로 부터 존경받는 기업을 만들도록 하겠다."
포스코의 새 수장인 권오준 회장 내정자는 17일 오전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로 출근하며 기자들과 만나 어떻게 포스코 경영을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이렇게 포부를 밝혔다. 내정자로서 첫 출근길에서 남긴 그의 말에서 비장함 마저 느껴진다. 이는 포스코가 국민들에게 신뢰를 잃었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다.
포스코는 '대일(對日) 청구권 자금'을 종잣돈으로 1968년 설립, 대한민국 산업화의 초석 역할을 한 국민기업이다.
더구나 철은 산업의 쌀이라고 불리울 정도로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태생적으로 포스코가 국민, 국가 경제와 떨어질래야 떨어질 수 없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포스코에 관심이 높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물론 부친인 고 박정희 전 대통령이 포스코 설립에 크게 기여한 점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이다. 박 전 대통령은 지난 1968년 11월12일 포항제철소 건설 현장을 첫 방문한 자리에서 "철강은 곧 국력이다"고 밝혔다. 이후에도 박 전 대통령은 제철소 건설현장을 13회 방문하며 각별한 애정을 쏟았다.
박 대통령은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부친과 포스코의 인연을 소개하며 자신의 포스코에 대한 애정을 우회적으로 나타낸 바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9월 4일 러시아 뉴스전문채널 '러시아TV 24'와 인터뷰에서 "부친이 주변의 반대를 무릅쓰고 경부고속도로와 포항제철 건설, 과학기술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했다"며"미래를 준비하시고 발전의 기반을 만드신 것을 통해 많이 배웠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16일 인도 방문에서 포스코의 현지 제철소 추진과 관련해 지원 사격을 한 것도 포스코에 대한 애정도가 부친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제 공은 포스코와 권 내정자에게 넘겨졌다. 정치권 외압 없이 내부 출신인 권 내정자가 '포스코호'의 새 수장이 오르는데 성공했다. 포스코맨들이 원하는 대로 다 이뤄진 셈이다. 포스코 입장에서도 더이상 핑계될 것도 없다는 얘기다.
하지만 지금의 포스코 상황은 녹록지 않다. 현실적으로 '잃어버린 5년'을 되찾기가 쉽지 않다. 2009년 초 정준양 회장 취임 후 포스코는 수익성과 재무구조, 신용 등급 등이 모두 급락했다. 정 회장 취임 직전만 하더라도 글로벌 초우량기업 수준이었다. 2008년 매출 41조7420억원, 영업이익 7조1730억원이라는 사상 최대 실적(연결기준)을 기록했다.
하지만 5년후인 지난해 영업이익은 3조원에 그칠 것으로 추정된다. 2008년 18%에 육박하던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5%대로 추락했다. 사실상 무차입 경영을 해온 포스코는 최근 5년 만에 부채 총액이 30조원 가까이 늘었다. 무디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등 국제 신용 평가 기관이 3~4년 연속 포스코에 대한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한 이유이다. 권 내정자가 17일 출근길에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좋은 안을 만들겠다. 경영 능력도 닦아나가겠다"고 한 것도 이같은 위기감에서다.
권 내정자는 공식 회장으로 선임되는 오는 3월 주주총회 전 까지 포스코의 개혁, 미래 비전을 미리 구상해야 한다. 포스코 사외이사들이 이전 회장 보다 한달 넘게 내정자를 선정해 그에게 충분한 시간을 줬다.
권 내정자는 위기에 처해 있는 포스코를 글로벌 초유량 기업 반열에 다시 올려세워야 하는 당면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런 점에서 권 내정자는 ▲의식 개혁 ▲ 글로벌 경쟁력 강화 ▲비 주력 사업 정리 등을 최우선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엇보다 순혈주의, 관료주의, 갑(甲) 사고에 젖어 있는 포스코 조직에 과감하게 메스를 대야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협력업체나 관련 업체들에게 군림하는 자세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또 인도네시아 제철소 건립, 인도제철소 추진 등 해외 사업도 연착륙 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글로벌 철강 업계 6위인 포스코가 '빅3'에 다시 올라서기 위해서는 해외 사업 성공이 필수요건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정 회장 취임 이후 71개 까지 늘어난 계열사를 정리해 경쟁력이 있는 사업 구조로 탈바꿈 시켜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포스코 안팎에서는 권 내정자에 거는 기대감이 높다. 권 내정자가 철강 기술 전문가인 만큼 첨단 철강재 개발로 일본, 유럽 등 경쟁 업체들과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그가 그간 재무와 현장이라는 포스코 핵심 라인에서 벗어나 있었던 만큼 포스코 조직에 개혁 의지를 불러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영선 포스코 이사회 의장은 "권 내정자가 포스코의 당면 위기를 제대로 파악해 철강 경쟁력 회복을 위한 대안은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포스코가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