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解, 분석)
▶외환위기, 금융위기, 그리고 산업대위기
1997년 외환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한 한국경제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발목을 잡혔다.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는 세계경제 침체로 성장이 둔화됐다. 최근에는 산업위기까지 닥쳤다. 우리는 어떻게 이 위기를 헤쳐갈 것인가.
▶한국형 경영 패러다임 3.0
정보기술의 발전과 함께 경영패러다임도 빠르게 바뀌고 있다. 산업혁명 이후 분업, 표준화, 제품 및 기업 혁신에 따른 글로벌 기업의 탄생, 그리고 정보기술(IT) 혁명은 경영환경을 거듭 변화시키고 있다. 새로운 산업사회에 걸맞은 경영 패러다임은 무엇인가.
▶대해부- 격동하는 집의 경제학 : 매매 전세 월세 '욕망의 대이동'
주택시장의 구조와 흐름이 크게 바뀌고 있다. 세입자와 집주인, 젊은층과 장년층들이 집을 구하거나 내놓으면서 닥치는 현실 속으로 들어가 그들의 고민과 격동하는 시장의 변화양상을 짚어본다.
▶꽃보다 주식
지수는 2000에서 움직이고 있지만 시장은 얼어붙어 있다. 투자자들은 떠나고 거래 위축에 증권업계도 고사 위기 몰리면서 시장 전체에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어떻게 이 분위기를 반전시킬 수 있을까. 함께 고민해본다.
▶부티크 24시, 불황 속에 거리로 나선 '매미'의 세계
증권가의 구조조정 한파가 거세졌다. 여의도에 소규모 유사투자자문사를 오픈하는 일명 '매미'들이 늘어나고 있다. 비인가 자기매매업자와 기업금융 업무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부티크도 다시 성행할 조짐이다. 과거 펀드매니저, 애널리스트에 종사했던 이들의 프리랜서로서의 일상을 들여다본다.
▶해외 언론에 비친 한국의 얼굴
아직도 전쟁 중인 나라, 세계 최대 IT강국, 모든 국민이 워커홀릭인 나라, K팝으로 세계를 지배하는 나라, 진정한 주당의 나라, 외국 언론을 통해 본 우리의 얼굴을 분석해본다.
▶창조경제 뒤집어보기
박근혜정부의 핵심과제인 창조경제 정책이 추진된 지 1년이 되었다. 지난 1년간 창조경제 정책에 대한 평가와 앞으로의 전개방향에 대해 분석해본다.
◆경(更, 혁신)
▶세계의 W리더십
지구촌 여성지도자들의 배경과 영향력, 리더십에 대해 집중 분석한 뒤, 아직도 갈 길이 먼 일반여성 인력의 사회적 진출 현황에 대해 조명한다.
▶언론의 위기
뉴스위크 잡지 발행 중단, 매각 추진 중인 포브스 등 언론 매체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언론매체 투자자가 계속 느는 것은 새 지평이 열릴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차이나 베이비, 위기인가 기회인가
중국이 최근 산아제한정책을 포기함으로써 중국 시장은 폭발적으로 커질 전망이다. 중국의 산아제한 포기가 우리나라와 세계에 미칠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해본다.
▶일본 부활
아베노믹스로 일본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일본이 중국과 쌍벽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드러난 방공식별구역 설정과 관련해서도 일본의 전력은 크게 뒤지지 않는다.
▶100세 시대 남성생존법
베이비 부머 최창환기자의 좌충우돌 자기고백 에세이와 정책 대안을 통한 장수 시대의 인생 제2막 살아가기
▶대한민국 산업지도 바꿔라
한국 경제 60년 압축성장의 비결은 무엇일까. 성장 변곡점에 다다른 우리 산업의 미래지도를 다시 그려본다.
◆장(張, 시스템화)
▶갑오년 어젠다 - 김영호 전 산자부장관 와이드 인터뷰
120년 전 갑오년과 흡사한 상황에 처해있는 한국사회의 숙제를 짚어보는 대기획
▶말의 해 언(言)의 해
말의 해를 맞아 말을 살리자는 기획 시리즈. 우리 사회의 많은 갈등 증폭과 왜곡은 말의 잘못된 소통으로 인한 것이다. 말이 말을 죽이고 말이 말을 억누르는 현실에 대해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한다.
▶생로병사
한국인이 태어나서 늙고 병들어 죽는 것에 대한 각종 통계와 사례들을 살펴본다.
▶행복하십니까
우리의 행복에 대한 인식은 어떤가. 빈국인 부탄의 높은 행복도에 비해 한국인은 왜 스스로를 행복하게 여지기 않을까. 그 실상과 내면을 다각적으로 들여다본다.
▶창조경제 인재들
창조경제 시대에 맞는 우리 사회의 인재 유형을 분석하고 제시한다.
▶여성시대 10대 과제, 여력(女力)이 국력이다
창조경제를 이끌 자원으로 여성이 주목받고 있다. 인적자원으로 여성을 제대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여성의 경제활동을 가로막는 장애부터 해소해야 한다. 여성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정부, 기업, 사회가 시스템화해야 할 10대 과제를 생각해본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