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만델라 타계]자유를 향한 길고도 먼 여정…만델라 일대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코사족 족장 아들에서 인권의 아버지까지 100년의 삶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 넬슨 만델라 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95세 일기로 타계했다. '살아있는 성자'로 불려온 만델라 전 대통령은 한 세기 가까운 삶 동안 남아공의 인종차별에 저항하며 전 세계의 약자와 소수자의 인권을 위해 싸웠다.


다음은 만델라 전 대통령의 일대기.

▲1918년 7월18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트케이프주 코사족 자치국 트란스케이의 므브조(Mvezo) 출생. 할아버지가 템부족(Thembu) 족장이지만 아버지가 일찍 사망해 어머니인 종진타바족(Jongintaba)에서 성장.


▲1925년 감리교계 초등학교 입학. 담임선생님 무딩가네(Mdingane)가 '넬슨'이라는 기독교 이름 작명.

▲1936년 힐드타운의 감리교계 중학교인 클라크버리기숙학교 입학 후 엘리트 흑인교육기관인 포트헤어대학 입학. 1940년 포트헤어대학 재학 중 시위 주동으로 퇴학.


▲1942년 남아공대학에서 법학 학사학위 수여. 아프리카민족회의(ANC) 가입.


▲1944년 ANC 청년연맹 창설하고 첫 번째 부인인 애블린 만델라와 결혼(애블린과는 1958년 이혼).


▲1952년 7월 요하네스버그에서 친구인 올리버 탐보와 함께 최초의 흑인법률사무소 개설.


▲1956년 12월5일 흑인인권운동 벌이던 저항지도자 155명과 함께 체포돼 반역 혐의로 기소된 뒤 무혐의.


▲1958년 두 번째 부인 위니 마디키젤라 만데라와 결혼. 위니와는 수감 생활 중이던 1996년 이혼.


▲1960년 3월21일 경찰들이 인종차별정책에 반대하는 시위대에 총격을 가해 흑인 69명이 사망한 '샤프빌흑인학살' 사건을 계기로 ANC는 평화시위에서 무장투쟁으로 전환.


▲1961년 3월29일 만델라를 비롯한 공동피고인들 반역 혐의에서 무죄 판결. 출소한 만델라 무장투쟁 세력 조직하고 게릴라전 공부하기 위해 아프리카 대륙 여행.


▲1962년 5월 노동자 시위를 독려하고 허가받지 않고 여행한 혐의로 체포돼 두 달 뒤 재판에서 5년형 선고. 2년 뒤 사보타주(sabotage·태업) 주도한 혐의가 유죄로 인정돼 종신형 선고.


▲1979년 옥중 자와할랄네루상 수상한 것을 비롯해 수감 중 브루노 크라이스키 인권상, 유네스코 시몬 불리바 국제상 등 수상.


▲1980년 요하네스버그 신문을 통해 만델라를 비롯한 ANC 지도자들 석방 탄원운동 시작.


▲1989년 5월 P.W 보타 대통령과 면담한 이후 1990년 2월 석방. 같은 해 세계여행 시작해 마거릿 대처 영국 총리와 미국 의회, 조지 H.W 부시 면담.


▲1991년 7월 ANC 의장 선출된 후 당시 대통령인 프레데리크 데클레르크(Frederik de Klerk)와 인종차별 종식 합의.


▲1993년 만델라, 데클레르크 대통령과 노벨평화상 공동수상.


▲1994년 최초 흑인참여 자유총선거 통해 남아공 대통령 선출.


▲1998년 7월18일 현재 부인인 그레카 미셸 만델라와 결혼.


▲1999년 대통령직 물러나 넬슨 만델라 재단 설립. 아프리카 에이즈퇴치 운동 등 각종 인권운동 전개.


▲2009년 7월18일 유엔(UN) '만델라의 날' 선포.


▲2012년 3월27일 폐질환으로 입원. 2013년 4월6일 퇴원했다 6월8일 재입원. 23일 대통령궁 만델라 상태 악화 발표.


▲2012년 12월 이후 퇴원과 입원을 반복.


▲2013년 9월1일 퇴원.


▲2013년 12월5일 요하네스버그 자택에서 타계.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