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日 제약사 파란눈 이 남자를 COO로 앉힌 까닭

시계아이콘01분 3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약값 인하·시장 개방에 글로벌 전략 올인…한국 기업도 인수

日 제약사 파란눈 이 남자를 COO로 앉힌 까닭 크리스토프 웨버 다케다 최고운영책임자(COO). 사진=블룸버그
AD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 박혜정 기자]일본의 대표적인 제약회사 다케다(武田)약품이 최근 '파란 눈의 외국인'을 최고운영책임자(COO)로 영입했다. 프랑스 연수 후 영국의 제약회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에서 경력을 쌓은 크리스토프 웨버가 주인공이다. 웨버는 내년 여름 회장으로 취임하는 하세가와 야스치카(長谷川閑史)로부터 최고경영자(CEO) 자리를 물려받는다.


최근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번 인사가 일본 제약시장 개방에 따라 해외 무대로 진출하려는 일본 제약사들의 전략을 반영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하세가와 CEO는 "일본 시장은 성장세가 둔화돼 뒤처지고 있다"면서 "국제화 이외에는 선택이 없다"고 말했다.

최근 수년간 일본의 제약회사들은 엔화 강세를 등에 업고 외국의 경쟁사들을 인수해 왔다. 다케다약품이 대표적이다. 2011년 독일의 대형 제약회사 니코메드의 지분 100%를 1조엔(약 14조8000억원)에 인수해 일본 제약업계의 인수ㆍ합병(M&A) 최고가액 기록을 갈아치웠다. 또 2008년에는 미국의 항암 전문회사 밀레니언을 88억달러(약 9조4300억원)에 사들였다. 다이치산교(第一三共)는 2008년 인도 최대 제약회사 란박시 래버러토리즈의 지분 50.1%를 4900억엔(약 5조6570억원)에 취득했다.


일본 제약업계는 한국을 아시아시장 공략의 전초기지로 삼고 있다. 일본 복제약(제네릭) 1위 제약사 니치이코(日醫工)는 지난 10월 국내 바이오기업 바이넥스를 약 230억원에 인수했다. 니치이코는 앞서 지난 2년간 한국과 일본에서 바이오시밀러(바이오복제약)을 개발 중인 국내 바이오벤처 에이포젠에 투자해 45%의 지분을 보유한 대주주가 됐다. 한국을 바이오시밀러 글로벌 생산기지로 삼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지난해 말 코칸도그룹은 제주도에 생산기지를 마련하겠다며 국내 사업단과 협약을 맺었다. 코칸도그룹은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에 200억원을 투입해 의약품 생산라인과 연구기반 시설을 마련할 예정이다. 2011년에는 글로벌 제약그룹 동아쏘시오그룹(당시 동아제약)과 손잡고 바이오시밀러 공동 개발에 뛰어들었다. 메이지세이카파는 당시 519억원을 동아쏘시오그룹에 투자했다.


한 국내 제약사 관계자는 "일본 정부의 지속적인 약가인하와 다국적 제약사의 잇딴 진출로 일본 제약사가 상대적으로 위축된 상황"이라며 "한국 시장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한 일본 제약사들이 수십년 전부터 진출 전략을 짰고 최근 하나 둘 실천으로 옮기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한국을 거점으로 아시아 시장으로 진출하려는 전략을 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日 제약사 파란눈 이 남자를 COO로 앉힌 까닭

일본 정부는 인구 고령화에 따른 약값 상승을 우려해 특허기간이 끝난 약품의 가격 인하를 요구하고 있다. 니치이코제약의 마치다 이이치 이사는 "판매는 급증하고 있지만 정부가 돈을 아껴야 하기 때문에 (매출)상황이 완전히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외제 약품에 대한 일본 정부의 규제 완화도 개방을 촉진하고 있다. 과거 글로벌 제약사들은 선진국에서 개발된 혁신 약품이 일본 시장에서 출시가 지연되는 이른바 '드럭래그(drug lag)' 현상을 호소했다. 외제 신약을 승인받기 위해선 일본인의 유전적 차이가 반영됐는지 증명하도록 요구받을 정도였다.


곤도 다츠스야 일본 의약규제 팀장은 "과거엔 승인 지연에 대한 우려가 상당히 있었지만 요즘엔 일본이 다른 나라보다 훨씬 더 빨리 신약을 받아 들인다"고 말했다.


글로벌 제약사들에겐 절호의 기회다. 다른 나라에서 오래전에 출시된 약품이 일본에서 새로 승인되면서 비교적 비싸게 팔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신흥시장에서 규제를 강화하고 가격을 인하하는 추세는 물론, 의료예산을 삭감하는 유럽과는 대조적인 것이다.


GSK의 3분기 일본 매출은 2% 늘어났고 마진은 58%를 기록했다. 미국을 제외한 모든 지역보다 이익률이 높았다. 스위스의 제약사 로셰도 일본에서 상반기 판매가 2% 증가해 유럽시장의 증가율보다 2배 이상을 기록했다. 2002년 일본 제약사 추가이를 인수해 입지를 강화한 덕분이다.


글로벌 제약사들이 일본 시장의 문을 열어젖히는 가운데 일본 제약업계는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