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신흥국 물가연동국채 발행 크게 늘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6초

美양적완화 축소 전망에 물가 들썩..물가연동국채 수요 늘어

[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물가연동국채 신규 발행에 나서는 신흥국들이 늘면서 올해 신흥국의 물가연동국채 발행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양적완화 축소 전망에 신흥국 금리가 들썩이고 있기 때문이다.


물가 상승을 예상하고 있는 신흥국 정부가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또 재정을 확대하기 위한 수단으로 물가연동국채 발행을 늘리고 있다고 WSJ는 분석했다. 국채 발행이 늘면 시중 유동성이 축소돼 이에 따른 물가 억제 효과를 볼 수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물가연동국채는 시장의 외면을 받았다. 미국을 중심으로 저금리 기조가 정착되면서 인플레를 기대할 수 없는 환경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글로벌 경기에 대한 낙관론이 커지고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전망이 대두되면서 상황은 반전됐다. 물가가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물가연동국채가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의 물가 상승률이 올해 4.4%에서 내년 4.5%로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선진국 물가도 1.6%에서 1.8%로 상승을 점치고 있다.

바클레이스의 신흥시장 국채 지수는 올해 8월까지 5.1% 손실을 기록했지만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화두로 등장한 9월 초 이후 2.4% 수익을 기록하고 있다.


인도는 올해 처음으로 물가연동국채를 발행했고 필리핀도 내년 초 물가연동국채 발행을 준비하고 있다. 인도·브라질·터키·태국 4개국은 올해 127억달러의 물가연동국채를 발행했는데 이는 지난해에 비해 27% 증가한 것이다.


블랙록의 마틴 헤거티 이사는 지금까지는 신흥시장 국채를 외면해 왔지만 지금은 뉴질랜드와 브라질 물가연동국채에 투자하고 있다고 밝혔다.


브라질은 세계에서 물가연동국채를 가장 많이 발행하는 국가 중 하나다. 브라질은 지난 7월 외국인의 채권 투자에 매기던 세금을 폐지했다. 외국인 투기자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도입했던 6% 과세 제도를 약 1년만에 없앤 것이다. 세금이 없어지면서 외국인의 국채에 대한 수요가 늘었고 정부의 채권 발행도 늘고 있다.


시장전문가들은 자국 채권 시장을 키우려는 정부의 욕구도 신흥국 채권 발행이 증가하는 이유로 보고 있다. 자국 채권 시장이 커지면 외국인 투자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곧 외국인 투기 자본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진국들도 물가연동국채 발행을 늘리고 있다. 인플레 유발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일본은 지난 10월 5년 만에 처음으로 물가연동국채를 발행했다. 최근 일본 재무성은 내년 물가연동국채 발행 규모를 올해의 두 배인 1조2000억엔으로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은 내년 4월 소비세율을 현행 5%에서 8%로 인상할 예정이며 이에 따라 물가 상승에 대비하는 금융상품 수요 확대가 예상된다.


뉴질랜드도 올해 13년만에 처음으로 물가연동국채를 발행했다.


정부 입장에서는 물가연동국채가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 물가를 통제하지 못 하면 결국 채권에 지급하는 이자 비용 부담이 늘어 재정 악화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물가연동국채가 고평가되고 있는 지적도 제기된다. 지난 10월 인도 정부가 발행한 물가연동국채는 도매물가지수보다 1.44%포인트 높은 수준의 금리로 발행됐다. 하지만 인도 10년물 국채 금리는 물가 상승률보다 2.06%포인트 높은 수준이어서 물가연동국채 가격이 지나치게 높은 것 아니냐는 논란을 낳았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