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3국감]"성형외과 77% 응급의료장비 전무…의료사고 무방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 성형외과 10곳 가운데 8곳은 응급상황에 대처할 심장충격기·인공호흡기 등 의료장비를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원급 성형외과는 단 한 곳도 의료장비가 없어 환자들이 의료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는 지적이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동익 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전체 성형회과 응급의료장비 구비현황'에 따르면, 전국 1091개 성형외과 중 76.9%에 해당하는 839개가 응급의료장비를 갖추지 않고 있었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142개 종합병원의 대부분(99.2%) 심장충격기를 구비했으나, 병원급 성형외과(130개)는 절반만이 심장충격기를 갖췄다. 의원급 성형외과(819개)는 단 한 곳도 없었다. 인공호흡기를 기준으로 보면 종합병원에는 전부 인공호흡기가 있었으나, 병원급과 의원급의 구비율은 각각 39.2%, 4.5%에 불과했다.


심장충격기와 인공호흡기 둘 다 갖추지 않은 곳은 병원급 43.8%, 의원급 95.4%에 달했다. 전체 성형외과의 76.9%에 응급의료장비가 없는 셈이다.

특히 절반 가까운 44.1%의 성형외과가 몰린 서울의 경우 병·의원의 16.8%만이 응급의료장비를 구비하고 있었다. '성형 1번지'라 불리는 강남구는 319개 성형외과 가운데 응급의료장비를 갖춘 곳은 1.2% 밖에 안 됐다.


정부는 심정지 응급환자 발생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전국 공공보건의료기관(30병상 이상), 구급차, 여객항공기, 철도객차 등에 자동제세동기(심장충격기)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규정했으나, 정작 성형외과는 논의 대상에서 빠졌다고 최 의원은 지적했다.


최 의원은 "복지부는 각종 성형과 관련된 불법과 위험상황에 대해서 그 실태를 하루 속히 파악하고 증가하는 성형수술에 따른 의료사고를 막을 수 있는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