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패션메신저]아웃도어에 보온력 단위(clo)를 활용해보자

시계아이콘01분 2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패션메신저]아웃도어에 보온력 단위(clo)를 활용해보자
AD

서늘해진 날씨와 함께 아웃도어 웨어 시장이 바빠졌다. 브랜드마다 고객의 마음잡기에 온힘을 쏟고 있다. 우리나라의 2013년 아웃도어 웨어 시장 규모가 6조4000억원이고, 세계 2위의 매출 규모라니 그럴만하다.


특별히 관심을 끄는 대목은 고객의 마음잡기에 과학의 힘을 적극 활용하려 한다는 점이다. 다른 나라의 제품을 흘깃 거리며 겉보기만 베끼던 시절이 아닌 것이다. 연구와 실험을 통해 좋은 상품을 만들어내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증거다. 참으로 다행스런 일이다.

최근 몇년동안 기업들이 필파워(fill power 우모 제품의 복원력), 'GD'마크(Good DesignMark우수디자인마크), 'EQ'마크(Eco-quality 친환경 인증 마크) 등으로 타제품과 차별화를 내세우며 마켓 활동을 벌이더니, 올해는 한 기업이 다운 자켓에 HAT(Himalaya 히말라야, Altitude 고도, Temperature 온도의 약자)지수를 판매전략에 활용하고 나섰다. 이들 모두가 각기 다른 마크를 들고 나왔지만, 아웃도어 웨어로서의 기능이 과학적인 시험을 거쳐 인정받은 우수한 제품이라는 것을 각인 시키려하고 있는 것이다.


아웃도어 웨어는 말 그대로 야외 활동 때 입는 옷이다. 간단한 스포츠에서부터 히말라야 등반 같은 극한상황에서 인간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옷이다. 그러나 케주얼 웨어로서 또는 방한복으로서의 활용도가 더 높은 실정이다. 특별히 우리나라의 경우 유행을 추종하는 정도가 강한데다 스포츠웨어 업체들의 왕성한 판촉에 힘입어 아웃도어웨어 시장열기가 어느 나라 보다 뜨겁다.

따라서 아웃도어 웨어를 입는 목적이 각기 다르지만 추위를 겨냥한 방한용이라면 보온성이 가장 중요해진다. 흔히들 의복의 '보온성'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것처럼 모호한 말도 없다. 예를 들어 무게나 길이는 kg이나 m 같은 단위로 그 정도를 표시할 수 있지만 따뜻한 정도는 객관적인 잣대가 없어 보인다. 때문에 방한복을 만든 회사들이 각양각색의 마크들을 들고 나오는 것이다. 그러나 의복의 보온력에도 단위가 엄연히 있다.


'clo'가 바로 그 단위이다. 1940년대에 가기(A.P.AGagge), 버튼(A.C.Burton), 바젯(H.C.Baztt), 세사람이 의복의 보온력을 과학적으로 표시하도록 clo를 정의했다. 즉 1clo의 보온력이란, '기온 21.2℃, 습도 50%이하, 기류 10cm/sec 이하인 실내에, 안정하고 있는 성인남자가 쾌적하며, 평균 피부온을 33℃로 유지할 수 있는 의복의 보온력'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바람이 없고 습도가 보통일 때, 나체일 경우 30℃에서 쾌적하다고 한다. 같은 조건에서 기온이 21.2℃로 내려가면 1clo짜리 옷을, 기온이 12.4℃면 2clo, 3.6℃면 3clo, -4.8℃면 4clo로 기온이 8.8℃ 내려갈 때마다 1clo씩을 더 입어야 쾌적할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소비자의 수준은 나날이 높아가고, 세계 시장에서 우리제품의 위치도 선진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만큼 당당해지고 있다. 한편에서는 업체들이 경쟁적으로 수백만에서 수천만원씩을 들여 자꾸 새로운 '기준'만을 내어놓는다는 비난도 있다. 보다 과학적으로 차별화된 제품을 내놓기 위해서라면 탓할 일만도 아니나, 굳이 새로운 기준이나 지수 개발보다도 이미 개발된 과학을 이용하는 지혜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송명견 동덕여대 명예교수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