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중수 "선진국, 부채감축 계획 최우선으로 세워 금융안정 나서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아시아경제 박연미 기자]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15일(현지시간) "선진국은 공공 부채를 줄이기 위한 중장기 재정 계획을 최우선으로 세워 금융 안정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김 총재는 이날 '뉴욕 이코노믹 클럽' 초청으로 '글로벌 경제 성장과 금융 안정 : 한국의 관점'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면서 이같이 밝히고 "주요 선진국은 금융 관련 외부 효과 창출의 진원지이므로 글로벌 금융 안정에 대해 과거보다 큰 책임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금융 위기의 근본 원인으로 (선진국에 의한) 글로벌 금융 과잉이 큰 주목을 받아왔다"며 "글로벌 금융 안정은 지속 가능한 글로벌 성장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 총재는 "선진국과 신흥 시장국 사이에 양방향의 성장 파급이 가능하다"면서 "신흥 시장국도 글로벌 경제 성장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대내적으로는 금융개혁, 대외적으로는 금융 통합을 추구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신흥 시장국이 금융 통합을 확대하면 궁극적으로 해외 자본에 대한 의존도가 줄어들어 내수를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했다.


김 총재는 선진국과 신흥 경제국의 경제 전망과 관련, "선진국은 국가 간 차이가 있지만 완만하나마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으나 신흥 시장국은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신흥 시장국 일부에서는 예상되는 미국의 통화 정책 기조 변화로 자본이 급격히 빠져나가는 가운데 통화 절하 압력이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또 "이와 같은 과도한 국제적 금융 파급 효과를 억제하기 위한 현실적인 정책 대안은 자본 유입국과 공급국 모두 국경 간 자본 흐름을 규제하는 것"이라며 "이는 자본 통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선진국과 신흥 시장국 간 자본 흐름 안정화의 책임을 공유하자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총재는 "선진국과 신흥 시장국이 책임을 공유하는 '글로벌 정책 협력'을 하면 글로벌 성장과 금융 안정에 더욱 많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연미 기자 ch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