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3국감]"미래부 보안체계 안랩 의존 과도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1초

안랩 제품 타깃화한 공격 대비책 구축해야

[아시아경제 조유진 기자]미래창조과학부 보안 체계에 안랩에 대한 의존도가 과도하게 높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4일 홍문종 새누리당 의원(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은 "미래창조과학부 산하기관 56곳을 조사해보니 안랩 제품을 쓰지 않는 기관은 8기관에 불과해 사용률이 85.71%에 이른다"고 밝혔다. 안랩은 국내 유료 백신시장의 63.2%를 점유하고 있다.

홍 의원은 안랩의 보안 서비스의 안정성을 재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홍 의원은 "국제적으로 가장 인정받고 있는 영국의 보안평가기관 ‘바이러스 블러틴’에서 시행한 테스트에서 안랩은 2009년, 2010년 B등급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반면, 경쟁사인 국내 이스트소프트는 2011년 A등급을 받았으며 2013년에는 B등급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 2011년 중국 해커 커뮤니티로 추정되는 웹사이트에서 정부기관과 기업 1500여 곳이 사용하는 안랩 보안프로그램을 목표로 맞춤형 해킹 악성코드를 개발· 유포한 사실이 확인됐는데, 이는 한 업체에 대한 의존율이 높아 벌어진 사태"라고 했다.

그는 이어 "우리나라처럼 안랩 제품이 시장 점유율 50%이상 차지하고 있는 특수 상황에서 안랩 제품을 공격 목표로 한 사이버 공격에 대한 방어 및 피해 대비책을 신속히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