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버냉키 후 재편성될 글로벌경제…국내 영향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20초

내년 초 8년 재직 FRB 떠나는 ‘세계 경제대통령’
최근 다섯 차례 의장 교체 시 美 금리 1%p 이상 ↑
의장 교체 이슈 주가 방향성 결정하진 못해
인플레 반영 금리인상 시 주가엔 부정적


버냉키 후 재편성될 글로벌경제…국내 영향은? ▲ 내년 1월 퇴임을 앞둔 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
AD

[아시아경제 나석윤 기자] 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이하 연준) 의장이 내년 초 의장직에서 물러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향후 세계경제 구도에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연준의 양적완화(QE) 축소 가능성과 연방정부의 부채한도 협상 등 난제 속 ‘세계 경제대통령’의 임기만료가 맞물렸다는 점에서다. 지난 2005년 10월 연준 14대 의장으로 취임한 버냉키는 내년 1월을 끝으로 8년간 머물렀던 자리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우선 주목할 부분은 1970년대 이후 연준 의장 교체 시 미국 금리가 예외 없이 상승했다는 점이다. 1970년 이후 총 다섯 차례 의장이 바뀌는 동안 미국금리는 모두 6개월 후 금리가 6개월 전보다 1%p 이상씩 높았다.

채권의 경우 금리인상이 가격하락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당장 올 하반기부터 투자자 손실 등 시장이 들썩일 수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 시장이 미국 시장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단기적 영향은 적지 않을 전망이다.

여기에 이 같은 금리인상에 인플레가 반영될 경우 미국은 물론 국내 주식시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통상적으로 금리는 물가를 잡기 위한 수단이나 경기회복의 수반현상으로 인상이 결정된다. 미국이 금리에 경제성장률을 반영하지 못한 채 초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금리인상이 주가에는 부정적일 수 있다는 해석이다.

다만 주가의 경우 정책적 영향을 많이 받는 금리와 달리 여러 가지 요인들을 반영하는 만큼 예단은 어려운 상황이다. 곽현수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경험적 요인에 따라 미국의 채권시장이 출렁일 경우 우리 시장의 변동성도 커질 가능성이 높다”며 “연준 의장 교체가 중요한 이슈이긴 하지만 기타 변수들이 많은 상황에서 그 자체가 주가의 방향성을 정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곽 연구원은 “새로운 연준 의장의 취임과 함께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변화된 상황에서의 차익실현을 위해 매수와 매도를 두고 고민하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미국 내 현행법상 버냉키 의장의 추가 연임이 불가능한 건 아니다. 연방의회의 인준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는 연준 의장의 임기는 4년이고 연임이 가능하도록 규정돼 있다.


하지만 버냉키 의장이 비공식석상에서 “학계로 돌아가고 싶다”는 입장을 수 차례 밝혔고, 오바마 대통령 역시 지난 5월 “버냉키 의장은 그가 원하는 것보다 더 오래 재임했다”고 밝힌 바 있어 현재로선 임기만료 후 퇴임에 무게가 쏠리는 상황이다.


앞서 최장기간 재직했던 의장은 윌리엄 맥체스니 마틴 2세로, 1951년부터 1970년까지 19년 동안 의장직을 수행했다.




나석윤 기자 seokyun198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