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교육 받는 학생 10명 중 7명은 ‘선행학습 중’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사교육 받는 가장 큰 이유는 '학교 수업 불충분해서'

[아시아경제 김지은 기자]사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72.8%에 달하는 학생들이 선행학습을 하고 있으며 국민들은 사교육의 가장 큰 원인을 ‘학교 수업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원회와 교육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사교육 경감방안 모색을 위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2일 발표했다. 설문조사는 지난 7월 8일부터 7월 31일까지 범정부 온라인 소통포털인 국민신문고(www.epeople.go.kr)에서 실시됐으며, 학생과 학부모, 교사, 일반국민 등 총 9086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0.7%가 ‘사교육을 받고 있다’고 답했으며 참여하고 있는 사교육의 유형은 학원(53.7%), 학습지(21.1%), 개인과외(11.3%)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사교육 과목은 ‘영어(33.3%)’와 ‘수학(32.7%)’이 대부분이었으며, 사교육에 참여하는 응답자의 72.8%가 선행학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절반이 넘는 54.6%의 학생들이 ’학교진도보다 1~3개월 정도 빠른 수준‘으로 선행학습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국민들은 사교육의 주요 원인으로 응답자 중 가장 높은 비율인 31.9%가 ‘학교 수업만으로 충분하지 않아서’를 꼽았다. 또한 그 다음으로 높은 비율인 19.4%는 ‘선행학습을 하기 위해서’라고 답했다.


선행학습을 하는 이유로는 ‘학교수업을 받는데 유리할 것 같아서’라는 응답이 42.2%로 가장 많았으며 ‘학교수업과 시험이 선행학습을 하지 않으면 쫓아가기 어려워서’라는 응답도 24.4%에 달했다.


설문조사 외에 권익위는 교육부, 다음(Daum) 커뮤니케이션과 공동으로 사교육 경감을 위한 온라인 정책토론을 실시, ‘학교교육과정 내실화, 교과서 난이도 개편 등 공교육이 제기능을 발휘하도록 해 사교육 수요을 낮춰야 함’, ‘특목고, 대입수능 등 사교육을 유발하는 입시제도 개선 필요’, ‘학력위주가 아닌 능력중심의 사회문화가 조성될 수 있도록 국민의 의식 변화 필요’, ‘기타 방과후학교, 돌봄교실 운영 개선 필요’ 등의 의견을 수렴했다.


이와 관련 교육부는 선행교육과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평가를 금지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공교육 정상화 촉진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추진 중이다.


또한 교육부는 이번 정책 토론에서 수렴된 의견들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사교육비 경감 대책을 특별법 제정과 연계해 올해 하반기에 수립할 계획이다.




김지은 기자 muse86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