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뷰앤비전]기러기 아빠들이여, 계산기를 두드려보라

시계아이콘01분 52초 소요

[뷰앤비전]기러기 아빠들이여, 계산기를 두드려보라 위정현 중앙대 교수
AD

얼마 전 한 TV 예능 프로그램에서 가수 김흥국씨의 기러기 아빠 생활이 소개돼 많은 사람에게 충격을 주었다. 그는 1,2년도 아닌 무려 10년을 가족과 떨어져 살며 두 자녀를 위해 그 외롭고 고독한 생활을 인내해 왔다고 눈물을 보였다. 그럼에도 그는 "기러기 아빠 생활은 하고 싶지 않지만, 아이들이 유학 하겠다고 하면 보낼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해 또 한번 놀라움을 주었다.


1990년대 조기유학 붐으로 인해 시작된 기러기 아빠는 이제 한국사회에서 생소한 개념은 아니다. 이미 국어사전 '훈민정음'에 수록되었고, 국립국어원 '2002년 신어 보고서'에도 신조어로 포함되어 있으니 '기러기 가족'은 당당한 보통명사로 한국 사회에 자리잡고 있다. 그 숫자도 53만가구로 추산된다니 기러기 가족은 이미 가족의 한 형태가 아닌가.

기러기 아빠는 경제력과 만남의 형태에 따라 네 가지로 세분된다는 우스개 소리가 있다. 먼저 펭귄 아빠다. 펭귄 아빠는 돈이 없어 가족에게 못 가고 1년 내내 하염없이 하늘만 바라보는 경우이다. 다음이 기러기 아빠로 1년에 한두 번 날아가 가족과 재회하는 경우이다. 세 번째는 독수리 아빠로 자주 날아가 가족을 만날 수 있는 사람을 말한다. 마지막이 황금독수리 아빠로 가족이 보고 싶으면 시도 때도 없이 날아가 만날 수 있는, 시간과 경제력이 있는 아빠이다.  나는 미국 UCLA에서 방문교수 생활을 할 때 여러 국가의 연구자들과 한국의 '기러기 가족'에 대해 이야기를 해 본 적이 있었다. 먼저 가족을 중시하는 미국인과 유럽인에게는 충격 그 자체로, 이들은 입을 다물지 못했다. 그건 가족의 해체가 아니냐는 것이다.


일본인은 자녀를 위한 심정은 이해하지만 실제로 실천하기는 어렵다고 답했다. 유일하게 중국인은 그럴 수 있고 중국에도 기러기 가족이 등장하고 있다고 말해 주었다. 다만 중국인의 경우 앞에서 분류한 정의에 따르면 독수리 아빠에 가깝다. 미국 방문비자 취득이 지극히 까다로워 돈 있는 중국인 아니면 자녀의 미국 교육은 꿈도 꾸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순수하게 펭귄 형, 또는 기러기형 가족은 한국에만 존재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 점에서 기러기 가족은 지극히 한국적 현상이다.

그러나 10조원이 넘는 막대한 국부를 쏟아부으면서 조기유학과 영어교육을 위한 기러기 아빠가 성과가 있을지는 이제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 아닌가 싶다. 기러기 아빠가 한국의 입시 지옥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공부시키고 싶다는 소박한 일념에서 시작되었다면 그건 착각이다.


미국의 공립학교는 그다지 수준이 높지 않다.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와 같은 품격 높은 교육은 필립스 아카데미 같은 명문 사립학교에서 이루어지지만 사립대학 수준의 학비를 요구한다. 또 좋은 대학을 보내고 싶다면 미국도 한국 수준의 헌신과 노력을 요구한다. 자녀의 숙제를 도와 주어야 하고, 한국처럼 학원을 찾아 속칭 '뺑뺑이'를 돌려야 한다. 그러나 영어가 약한 기러기 엄마는 자녀의 엄청난 양의 학교 숙제를 도와주기 어렵다. 기러기 엄마들은 자녀들이 미국인 친구와 떠드는 유창한 영어를 들으며 흐뭇해하지만 문제는 이들의 대화 수준이다. '어제 어디 갔어', '애밀리 걔 옷차림 촌스럽네' 등의 일상적인 잡담으로 채워지는 대화는 품격 높은 영어와 거리가 멀다.


미국에 입시경쟁이 없다고 생각한다면 그건 엄청난 착각이다. 자녀를 아이비리그에 보내려는 미국인들은 초등학교부터 관리에 들어간다. 미국 중산층 엄마도 학교성적, 과외활동 등을 관리하는 맹모 생활을 한다. 그리고 '하버드 맘(엄마)', '스탠퍼드 맘' 같은 자녀 자랑을 자신들이 타고 다니는 차 번호판에 붙이고 다닌다.


경제학에 '밴드왜건 효과'라는 말이 있다. 다른 사람의 행동에 부화뇌동하는 것을 지칭한다. 연 10조원의 국부를 투입하고 50만명의 자발적 이산가족을 만들어내고 있는 지금 기러기 가족의 비용과 교육성과라는, 투입과 산출의 냉정한 경제학적 계산을 해봐야 할 때가 되지 않았을까.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 교수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