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초동여담]'오탈자'란 인물이 전하는 이야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평소 아이러니로 생각되는 것 중 하나가 우리의 언어 문자생활에 대한 것이었다. 한글에 대한 태도가 바로 그건데 영어가 유창한 이들이 정작 모국어에서는 허다한 오류와 잘못을 범한다는 것, 게다가 한글 맞춤법에 무지한 것에는 부끄러워하는 기색이 없다는 것이다. 맞춤법에 대한 '탈법'과 '불법'의 만연에는 이 같은 둔감함이 있었던 것인데, 정부에서도 이의 심각성을 인식했는지 '법치주의 강화'를 내세운 현 정부의 출범 때 세간에서는 '맞춤법 위반 사범'에 대해 징역형의 실형을 선고할 것이라는 말이 나돌기도 했다.


이는 결국 소문에 그쳤지만 그러나 많은 국민을 '범법자'로 만드는 우를 피했다는 점에서 다행이다. 사실 '맞춤법 전과자'의 양산은 가장 배우기 쉬운 문자를 가장 쓰기 어려운 문자로 만드는 맞춤법 자신이야말로 그 진짜 주범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게 아닌가. 사전마다 기준이 다르고, 전문가라도 함정에 빠지게 한다는 규탄을 듣지 않는가. 그러니 비난받을 건 백성들을 어여삐 여겨 28자를 만들면서 '제 뜻을 펼 수 있기만을 바랐을 뿐인', 그래서 연철법으로 표기하며 띄어쓰기도 없게 한 세종의 애민정신을 거스른 후대의 학자들이 아닌가, 라는 항변이 나올 법하다.

그러나 모든 문자는 탄생해서 유아기를 거쳐 성숙하는 것. 한글을 진짜 우수한 문자로 만드는 것은 창제자만큼 그 사용자의 몫이다. 다소의 억울함이 있더라도 성숙한 시민의식으로, 한글의 우수성에 부끄럽지 않는 주인이 되기 위해, 맞춤법 위배의 비행과 탈선을 변호하기보다는 스스로 그 비행을 '교정(校正)' 교화하자. 맞춤법에 관한 한 그것에의 불복종이 아닌 자발적 구속으로써 진짜 자유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 '자유에의 길'에서 우리는 무엇보다 큰 유혹을 하나 이겨내야 한다. 그것은 우리 주변을 배회하며 세이렌의 노래로 우리를 미혹케 하는 '오탈자'라는 인물을 멀리하는 것이다. 그에게 홀려 얼마나 많은 이들의 글이 참담히 망가지고 오점으로 얼룩졌던가.

나는 그를 우연히 만나볼 수 있었다. 자신에 대해 털어놓지 않으려 하는 그에게 무엇을 무서워하는가, 집요하게 물었다. 그는 "드라큘라가 십자가를 무서워하듯, 어둠이 빛에 물러나듯이 무서운 것이 두 가지 있다"고 실토했다.


"그것이 무언가?"


그는 마지못한 듯 답했다. "국어사전과 퇴고요"


오탈자와의 '부적절한 관계'를 끝내려 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까 싶어 이렇게 적는다.






이명재 사회문화부장 promes@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