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비스업 대출 '껑충'… 경기회복 신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아시아경제 박연미 기자] 2분기 산업대출금 증가폭이 전분기보다 1조원이상 늘면서 12조원을 넘어섰다. 특히 전분기 1조7000억원 늘어나는데 그쳤던 서비스업 분야 대출금은 6조9000억원까지 확대돼 눈길을 끌었다.


다만 이런 흐름은 지난해와 같아 계절적 요인에 따른 일시적 효과인지, 경기 회복에 따른 자금 수요 회복인지 단언하긴 이르다는 게 한국은행의 설명이다.

28일 한은이 발표한 '2분기 중 예금취급기관의 산업별 대출금' 통계를 보면, 산업대출 총액은 전분기보다 12조2000억원 늘었다. 전분기 증가폭인 10조9000억원보다 1조3000억원 늘어난 규모다. 예금은행 대출은 13조2000억원 늘었고,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대출은 1조원 감소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4조8000억원)과 서비스업(6조9000억원), 기타 산업(1조3000억원) 대출금이 모두 증가했고, 장기 불황에 따라 건설업 대출은(마이너스 7000억원) 소폭 줄었다. 기업들은 운전자금(5조2000억원)과 시설자금(7조원) 대출 수요가 함께 늘어났다.

특징적인 부분은 서비스업 부문의 대출 증가세다. 2분기 대출금이 전분기보다 6조9000억원 늘었다. 특히 부동산업(2조9000억원)과 도·소매업(1조7000억원) 등 자영업자들이 몰리는 분야의 대출금이 고르게 늘어 밑바닥 자금 수요가 살아나고 있다는 힌트를 줬다.


2분기 전까지 서비스업 부문의 대출 증가세는 한풀 꺾인 상태였다. 지난해 2분기 이 분야 대출금은 전기보다 5조8000억원 늘었지만, 3분기에는 3조5000억원, 4분기에는 2조원, 올해 1분기에는 1조7000억원까지 대출금 증가폭이 줄어 들었다.


경기 바닥론에 힘을 실을 법한 추이지만, 한은은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며 한 발 물러섰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4분기에 상환된 자금이 1분기와 2분기 다시 대출되면서 비슷한 자금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면서 "대출금 확대 흐름을 경기 상황과 직접 연결짓긴 이르다"고 설명했다.




박연미 기자 ch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