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장에서]온통 공사장인 백령도의 '역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2013년 8월, 백령도의 여름은 활기찼다. 고요했던 섬의 하늘은 분주했다. 연평도 포격 사건 후 북한 상륙정을 잡기 위해 배치됐다는 10여대의 공격 헬기들이 좁디 좁은 섬 주변 상공을 이리 저리 누비고 있었다. 한 군 관계자는 "이곳에 배치된 병력은 연대 규모지만, 화력ㆍ장비 등의 전력은 군단급"이라고 귀뜸했다.


섬 곳곳에선 자주포와 탱크들이 굉음을 내며 훈련 중이었다. 민간인들도 이날은 '을지 훈련'에 따라 발령된 긴급 대피 상황 훈련 경보에 따라 마을 한가운데 마련된 최신식 대피소에 몰려 있었다.

그런 가운데 온 동네가 '공사중'이었다. 동네 곳곳에 깔끔한 새집들이 지어지고 있었다. 정부가 80%(최대 4000만원)의 비용을 지원하는 노후 주택 개량 사업 덕분이었다. 서해 먼 바다 한가운데에서 신비함 속에 고요히 머물러 있었던 서해 5도 지역은 2010년 연평도 포격 사태 이후 많이 부산스러워졌다.


"위험해서 살고 싶은 사람이 어디 있겠냐"는 세간의 생각과 달리 인구와 관광객이 오히려 늘어났다. 정부가 총 9000억원대 규모의 '서해5도특별지원법'을 만들어 항만시설을 현대화하고 생활 지원금(월 5만원)을 지급하는 등 대대적인 지원에 나선 덕이었다. 이로 인해 '안보 재테크'라는 말이 나돌기도 했다. 서해 5도에 이사를 가면 노후 걱정은 없겠다는 말들이 오갈 정도였다. 꽃게잡이와 섬 농사에 의존해 한적하고 고요하게 살던 서해 5도 주민들은 2010년 이후 인구 증가와 부동산 값 상승률 전국 1위이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에 '당혹'해할 정도다.

그러나 '안보 위기'에 의존하는 이같은 서해 5도 지역의 '활기'는 주민들에게 일종의 '역설'로 보였다. 안보 위기로 일시적으로 생활이 나아지긴 했지만, 결국은 그들의 생존ㆍ번영을 가져다 줄 궁극적인 키워드는 '평화'였기 때문이다. "안보 불안이 제일 큰 문제다. 우리는 평화만 보장되면 관광객과 꽃게잡이로 얼마든지 잘 먹고 잘 살 수 있다"는 어느 백령도 주민의 말이 귀를 맴도는 이유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