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만개 앞둔 손흥민, 새 시즌 과제는 '꾸준함'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1초

만개 앞둔 손흥민, 새 시즌 과제는 '꾸준함' 손흥민(왼쪽)-시드니 샘[사진=Getty Images/멀티비츠]
AD


[아시아경제 전성호 기자]손흥민(레버쿠젠)은 꽃봉오리다. 함부르크 시절 망울진 잠재력이 이적 뒤 만개(滿開)를 앞뒀다. 활짝 핀 꽃잎을 보여주려면 한 가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기복 없는 플레이다.

손흥민은 17일(이하 한국시간) 메르세데스 벤츠 아레나에서 열린 슈투트가르트와의 2013-14 독일 분데스리가 2라운드 원정경기에 선발 출장, 71분 간 그라운드를 누볐지만 공격 포인트를 올리지 못했다. 지난 3일 립슈타트와의 독일축구협회(DFB) 포칼컵 1라운드(6-1 승)와 10일 프라이부르크와의 리그 개막전에 이은 세 경기 연속골 행진은 자연스레 무산됐다.


레버쿠젠은 1-0 승리를 거뒀지만 시종일관 슈투트가르트에 다소 밀리는 모습을 보였다. 점유율(46%-54%)은 물론 슈팅(13-17), 코너킥(3-10) 등에서 모두 뒤졌다. 전반전 행운의 자책골이 없었다면 무승부도 쉽지 않았을 경기였다. 이런 열세에서 손흥민에게 골을 기대하는 건 무리일 수 있다.

그렇다고 해도 손흥민의 활약은 다른 때보다 분명 부족했다. 스포츠 통계 전문업체 'OPTA'에 따르면 돌파와 슈팅은 단 한 차례씩에 그쳤다. 유효슈팅은 없었다. 전체 패스 성공률은 81%(16회 가운데 13회)로 나쁘지 않았으나, 공격 진영에선 57%(7회 가운데 4회)에 머물렀다. 패스의 방향 역시 슈테판 키슬링이나 시드니 샘 등 동료 공격수보다 수비수나 미드필더에 쏠렸다. 상대 자책골의 씨앗이 됐던 전진 패스에도 경기 기여도는 팀 내 최하위 수준으로 평가받았다. 그만큼 공격에서 효율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수비에서의 활약은 나쁘지 않았다. 세 차례 가로채기에 성공했고, 빼앗긴 공을 두 차례 되찾았다. 전방에서부터 강한 압박을 중시하는 팀 컬러에 부합하는 점이다. 하지만 손흥민은 공격수다. 특히 날카로운 역습으로 노리는 레버쿠젠이기에, 주어진 시간에 밀도 있는 활약을 보여주지 못한다면 곤란할 수 있다. 그가 후반 26분 교체 아웃된 건 결코 우연이 아니다.


이날 경기를 통해 손흥민의 올 시즌 과제를 엿볼 수 있었다. 꾸준함이다. 기복 있는 플레이는 그동안 손흥민의 가장 큰 약점으로 꼽혀왔다. 앞서 조광래 전 감독, 최강희 전북 감독 등 그를 지도했던 대표팀 사령탑들도 같은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지난 시즌만 해도 멀티 골을 넣은 도르트문트전 2경기와 마인츠전 등에서 독보적인 기량을 뽐냈지만, 유효슈팅을 한 차례도 남기지 못한 경기도 13경기(40%)나 됐다. 올 시즌도 앞선 두 경기의 맹활약에 비해 이날 경기는 확실히 부족했다.


만개 앞둔 손흥민, 새 시즌 과제는 '꾸준함' 손흥민(왼쪽)과 현역 시절 차범근[사진=Getty Images/멀티비츠]


물론 손흥민은 분데스리가 4년 차지만 풀타임 시즌이 이제 겨우 두 번째다. 나이도 21세에 불과하다. 이를 감안하면 기복 있는 플레이는 어쩔 수 없다. 하지만 '월드 클래스'로의 도약을 꿈꾸는 그이기에, 컨디션에 따라 요동치는 경기력은 분명 넘어서야 할 단점이다.롤 모델인 차범근 전 감독만 해도 현역 시절 최대 장점은 꾸준함이었다.


굴곡을 줄이기 위해선 플레이의 다양성이 필요하다. 장점인 배후 침투와 슈팅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동료와의 연계 플레이, 헤딩 능력 등을 향상시켜야 한다. 성숙한 경기 운영도 빼놓을 수 없다. 손흥민은 함부르크 시절 경기가 잘 풀리지 않을 땐 종종 독단적 플레이를 보였다. 이 때문에 동료들과 엇박자를 내기도 했다. 홍명보 감독이 올림픽 대표팀 시절 손흥민을 외면한 건 이와 무관치 않다.


두고 봐야 할 일이지만 아직은 우려보다 기대가 앞선다. 차범근은 26세에 처음 분데스리가 무대를 밟았다. 손흥민은 5년 뒤 같은 나이가 된다. 그만큼 더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올 시즌에는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본선이란 꿈의 무대에도 나선다.


차범근 전 감독은 "내 경험상 선수가 잘 나갈 땐 옆에서 하는 말이 잘 안 들린다"며 "그러다 부진에 빠지면 실망도 크게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상급 선수라도 항상 최상의 경기력을 보여줄 수 없고 리듬을 타는 법"이라며 "흥민이도 일희일비하기보다는 정해둔 목표를 향해 앞만 보고 꾸준히 달렸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전성호 기자 spree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