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2005년 프랑스 원개발사로부터 '락테올'의 유산균 원료가 변경됐다는 통보를 받고도 이를 신고하지 않은 동화약품에 책임을 물을 것이다. 반사적으로 복제약에도 영향을 미쳤으니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는 방안을 추가 검토 중이다."
8일 서울 목동 서울식약청 브리핑실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 유무영 의약품안전국장은 '단호하게' 말했다. 그의 말대로 동화약품은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다. 락테올의 주원료인 유산균이 중간에 바뀌었다는 사실을 알고도 식약처에 신고하지 않은 것이다. 2005년 10월 원개발회사(앱탈리스 SA)가 자국 내 허가 정보를 변경한 뒤 국내 판권을 가진 동화약품에 친절히 이런 사실을 알렸지만 7년 넘게 이를 무시했다.
변명도 궁색했다. 당시 락테올 허가 변경 업무를 담당하던 직원이 퇴사한 이후 끝까지 챙기지 못했다고 한다.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해명은 '116년 국내 최장수 기업'의 변명치고는 민망하게 들린다.
그렇다고 식약처는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 결코 그렇지 못하다. 감독 부실 책임은 물론 '알고도 묵인했다'는 비판까지 들을 수 있다. 식약처는 2005년 프랑스가 허가 변경을 한 이후 독일·이탈리아·스위스 등이 허가사항을 변경했지만 이를 놓쳤다. 더군다나 올 1월 말 프랑스에 원료의약품 등록(DMF) 현지 실사를 나가 이를 파악하고도 즉시 판매중단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락테올을 본 따 만든 복제약에 대한 후속 조처 또한 없었다. 국내 제약사들이 락테올의 원료가 허가사항과 다르다는 사실을 안 것은 지난주의 일이다. 식약처는 지난 1월 말 현지 실사 도중 이를 확인하고도 6개월이 지난 후에야 설명회를 열고 알린 것이다.
식약처의 해명은 낯 뜨겁다. 식약처의 한 관계자도 "락테올을 정리하고 복제약까지 후속조처를 취했어야 했지만 3월 말 식약처 조직개편과 맞물리면서 해이해졌던 것은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식약처 역시 내부 시스템에 문제가 있었음을 시인한 것이다. 결국 락테올 사건은 동화약품과 식약처가 만든 '부끄러운 합작품'이었다. 동화약품과 식약처 모두 이번 사건을 거울로 삼길 바란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