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500억원 내년 서울시 '주민참여사업' 410개 총회 상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총 제안사업 1460건…전년 402건보다 3배 '껑충'
현장확인 등 두 차례 심사 거쳐 410개 사업 선정
26~27일 '예산참여한마당'서 최종사업 결정


[아시아경제 나석윤 기자] 서울시의 내년도 '주민참여예산사업'에 총 1460건이 접수돼 이 중 두 차례 사전심사를 통과한 410건이 총회에 상정된다. 최종 대상사업은 오는 26~27일 서울시청에서 열리는 '참여예산한마당' 총회를 통해 결정된다.

서울시는 2014년도 주민참여예산사업에 지난해(402건)보다 3배 넘게 늘어난 1460건의 사업이 접수됐고, 심사를 거친 410건에 대해 참여예산위원 전원 투표를 통해 최종사업을 선정한다고 25일 밝혔다.


'주민참여예산'은 시민들이 실생활 속에서 필요로 하는 사업을 제안하고, 순수 시민들로 구성된 주민참여예산위원회의 자율적 심사와 투표로 사업을 결정하는 사업으로, 500억원 이내에서 예산집행이 가능하다.

접수된 1460건은 예산규모로 보면 1조3017억원으로, 지난해 1989억원과 비교해 4배 가까이 증가했다. 사업이 가장 많이 접수된 분야는 총 263개 사업에 1140억원이 신청된 '보건복지' 분야였고, 사업비 기준으로는 '교통주택' 분야에 188개 사업에 5532억원이 신청돼 가장 높은 예산규모를 보였다.


이 같이 사업 신청이 대폭 늘어난 데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시행 2년차를 맞아 주민참여예산제가 많이 홍보되고 정착된 듯 하다"면서도 "이는 시민들이 꼭 필요로 하는 사업에 대해 서울시나 자치구가 미쳐 살피지 못하는 부분이 많다는 걸 반증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업의 심사는 각 자치구 참여예산위원회 1차 심사와 서울시 참여예산위원회 분과위 2차 심사, 참여예산한마당 총회 등 3단계를 거쳐 이뤄진다.


올해 총회에 상정된 사업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지난해와 비교해 소규모사업이 다수 이름을 올렸다는 점이다. 총회에 상정된 410개 사업의 평균사업비는 2억6800만원으로, 전년 3억6500만원보다 약 1원 가까이 낮아졌고, 10억원 이상 사업도 전체의 4.1%로 지난해 보다 3.4%p 감소했다.


이는 8개의 각 분과위원회 사업심사가 큰 돈이 들어가는 건설형사업보다 작은 돈으로도 큰 효과를 내는 시민밀착형사업을 중심으로 이뤄졌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상정된 사업 중에선 '공원' 분야가 66건을 기록해 가장 많았고, '보건복지' 분야와 '경제산업' 분야가 각각 62건으로 뒤를 이었다. '교통주택' 분야는 19건으로 가장 적은 비중을 보였다.


서울시는 주민참여예산사업을 최종 선정하는 참여예산한마당 전원투표에서 앞서 '분과위 심사결과보고회'와 '분과별 사업설명 부스'를 25일부터 27일까지 신청사에 운영하기로 했다.


참여예산위원들은 총회 상정사업 410개의 30%인 123표의 투표권을 부여 받아 1표당 1사업에 대해서만 투표하게 되고, 다득표순으로 사업우선순위를 정하게 된다.


정효성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올해 참여예산한마당은 치열한 심사를 통해 총회에 상정된 사업에 대해 사업제안자가 사업을 홍보하고 참여예산위원은 평등한 투표권을 행사해 최종사업을 선정하는 축제형식으로 개최된다"며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의지가 높은 만큼 이전보다 성숙한 참여예산제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나석윤 기자 seokyun1986@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