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민주, 기초선거 공천폐지 당원투표 이틀째…내홍은 계속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기초선거의 정당공천제 폐지의 찬반을 묻는 민주당의 전(全)당원 투표제가 21일 이틀째 투표가 진행 중인 가운데 공천제 폐지를 반대하는 당 중앙및 지방여성의원들과 일부 현역의원들의 반대가 계속되고 있다.


민주당 여성위원회와 여성 지방의원들은 전날에 이어 이날도 국회 정론관에서 공천제 폐지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여성위원장인 유승희 의원은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는 기회주의적 처방이자 풀뿌리 민주주의의 후퇴, 돈 정치, 낡은 정치의 부활"이라며 "정당공천제 폐지는 정당의 존립기반에 중차대한 영향을 주는 사안이기 때문에 전당대회에 버금가는 토론과 논쟁, 홍보가 보장돼야 함에도 왜 당원투표를 서둘러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비례대표인 진성준 의원도 반대여론을 이끌고 있다. 진 의원은 그간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는 정치 불신에 편승한 기회주의적 처방이자, 풀뿌리 민주주의의 후퇴"라며 "당을 약화 시키고, 보수 세력의 기득권만 강화시킬 독배"라고 반대해왔다. 그는 전날 트위터에는 정당공천제 폐지보다 지방당을 허용해야 한다면서 "현행 정당법은 중앙당을 서울에 두고 1000명 이상의 당원을 가진 시도당 5개 이상을 설치할 것을 정당 성립요건으로 하고 있다"며 "이를 대폭 완화해 지방당을 허용해야 한다. 그래야 풀뿌리 민주주의를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민주당 지도부는 여성위와 진 의원의 의견개진과 이를 담은 문자발송에 대해 전당원투표관리위원회 명의로 경고 조치를 했다. 박용진 대변인은 오전 현안 브리핑에서 "이날 여성위원회 명의의 기자회견 관련해서도 이석현 위원장이 직접 통화하고, 문건으로 경고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자회견을 했기 때문에 이와 관련해서 관리위원회 차원의 별도조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그러면서 이번 전 당원 투표에 대한 의미를 강조했다. 그는 "지도부선출이 아닌 당의 노선, 당의 입법정책관련 당원투표를 진행하는 경우는 국내에서는 처음이고, 한국정당사상 처음으로 진행되고 있는 투표"라면서 "해외정당들의 경우 당원들의 토론, 투표를 통해 당의 정책과 강령을 가다듬는 경우가 있었지만 국내에서 당원 투표를 통해 입법관련 정책을 결정하는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민주당의 전당원 투표를 시작으로 우리정치에서도 입법관련, 당의 노선관련 의견을 당원들에게 묻고, 입장을 정리하는 경우가 더 많아지길 기대한다"면서 "이것이 정당정치 정상화에 첫걸음이 되리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지난 20일부터 24일까지 닷새간 전체 당원들을 상대로 시ㆍ군ㆍ구청장과 시ㆍ군ㆍ구의원 선거에서 정당공천 폐지 여부를 묻는 투표를 실시한다. 투표권자는 최근 1년간 1회 이상 당비를 낸 권리당원으로, 대상자는 14만7128명이다. 이중 휴대전화로 투표를 할 수 있는 대상자는 14만5067명이고, 집전화로 투표를 할 대상자는 2061명이다. 전 당원투표 결과 찬반검토위의 결정사항대로 폐지로 결정이 나면 민주당은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를 당론으로 채택, 새누리당과 선거법 개정논의를 하게 된다.




이경호 기자 gungh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