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비타민 D 부족하면 폐 건강 악영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몸에 비타민 D가 부족하면 폐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최창진 가정의학과 교수팀이 2008~2010년 국민영양조사 자료 중 19세 이상 1만96명을 조사한 결과, 혈중 비타민 D 수치가 높을수록 폐 기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고 5일 밝혔다. 특히 결핵을 앓았던 경우 비타민 D와 폐 기능의 연관성이 더욱 분명히 나타났다.

교수팀에 따르면 체내 비타민 D 표지자인 '혈청 25 하이드록시비타민D[25(OH)D]' 수치가 높은 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폐활량이 51㎖ 더 높았다. 결핵을 앓았던 경우는 폐활량이 229㎖나 차이 났다.


또 조사 대상의 59.6%인 6020명에게서 비타민 D 혈중 농도가 기준치(20ng/㎖) 이하인 비타민 D 부족 상태였다. 이중 6.3%는 혈중 농도가 10ng/㎖ 미만인 비타민 D 결핍 상태였다. 반면 뼈 건강을 위한 권고치(30ng/㎖)를 충족한 사람은 7.9%(802명)에 그쳤다.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비흡연자가 흡연자보다, 운동을 하는 사람이 하지 않는 사람보다 비타민 D 혈중 농도가 높았다.


비타민D는 우리 몸에서 만들어지지 않는 영양소로 음식으로 섭취하거나 햇볕을 통해 체내 합성할 수 있다. 비타민D가 부족하면 구루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며 경련, 근력 저하, 호흡기 감염 증가, 심장 근육병증 등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최창진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 혈중 비타민D가 연령, 성별, 비만, 흡연, 운동 등 이미 알려진 요인과는 독립적으로 폐 건강과도 연관이 있었다"면서 "폐결핵의 병력이 있는 군에서 이런 관련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학업이나 직장생활 등으로 인해 우리나라 모든 연령에서 낮 시간의 야외활동이 적어 이 조차도 충족하지 못한 경우가 많은데, 폐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비타민D는 현재 뼈의 건강을 기준으로 하는 30ng/㎖ 보다 낮기 때문에 일광욕을 통해 체내 비타민 D를 적절히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미국 내분비내과 분야 권위지인 '임상 내분비 대사지'(JCEM) 4월호에 실렸다.




박혜정 기자 park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