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佛 대학영어 강의 확대 놓고 찬반 격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2초

"유학생 유치에 도움" VS "프랑스어 소외"

[아시아경제 박희준 기자]프랑스에서 영어사용을 놓고 격론이 벌어지고 있다.프랑수아 올랑드 사회당 정부가 대학개혁과 외국유학생 유치를 위해 영어 강의를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하자 언론과 정치권이 떠들썩하다.


영국의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프랑스 하원은 현지시간 22일 교육위원회를 열어 1994년 개정된 프랑스어 사용의무화 조항을 삭제하는 내용의 고등교육법 개정안을 심의한다.

주느비에브 피오라조 고등교육장관은 이달초 세계화에 맞춰 프랑스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시킨다는 명목으로 외국어 강의를 확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했다.


프랑스 사회당 정부의 이같은 결정은 2010년 세계 3위였던 외국유학생 순위가 5위로 밀려나고 유학생 대부분이 아프리카 대학 출신이라는 점도 작용했다.

1994년 신설된 ‘투봉법안’을 통해 프랑스는 고유언어인 프랑스를 보호관리하기 위해 일부 대학 외국어 수업을 제외한 모든 수업에서 프랑스어를 사용하도록 법제화했다.


그렇지만 사회당 정부의 이같은 방침은 노조와 언론,정치권에서 결렬한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노조는 대규모 가두시위를 벌이고 있고 언론도 찬반으로 나눠 격론을 벌이고 있다.


좌파신문인 리베라시옹은 21일 신문 전면에 ‘영어로 교육하자’는 제하의 기사를 싣는 등 영어로 발행하고 적극 지지의사를 표명했다.


프랑스어로 쓴 사설에서 리베라시옹은 사회당 정부의 법개정안을 지지하고 “포위당한 프랑스 마을의 최후의 대표자인척 처신하는 일을 중단하자”고 촉구했다.


프랑스어의 수호자로 자처하는 아카데미 프랑세즈는 법안 철회를 요구하며 반대의 목소리를 높였다. 프랑세즈는 “지금도 고등교육 분야에 대한 영어 침투가 심각하다”면서 “이번 법안은 프랑스어의 소외를 가져올 것 것”이라고 비판했다.


경제학자이자 프랑수아 미테랑 전 대통령 고문을 역임한 자크 아탈리도 들고 일어났다.그는 ‘렉스프렉스’에 보낸 기고문에서 “이런 개혁은 헌법에 위배될뿐더러 이보다 더 어리석고 비생생산적이며 위험하며 프랑스 국익에 반하는 것은 꿈도 꿀 수 없다”고 일갈했다.


그는 특히 외국 유학생 비율을 현재 재학생의 13%에서 15%로 높인다는 정부 목표와 달리 강의수준 하락으로 외국 유학생들도 감소할 것이라고 장담했다.


그는 “프랑스어는 중국어와 영어,프랑스어,힌두어에 이어 2억2000명만이 쓰는 세계 5위의 구어로 ‘미래를 위한 중요한 자산’”이라면서 “우리가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친다면 40년 뒤에는 4위의 언어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주느비에브 피오라조 고등교육장관은 이들 비판론자들을 ‘지독한 위선자’라고 비난하고 “법 개정안은 프랑스의 최고 대학원인 그랑제꼴이나 학비가 무료인 대학원인 시앙스포가 이용하고 있는 개선안을 일반 대학에 확대하자는 것일 뿐이라고 맞섰다.


그녀는 “이런 변화는 프랑스 대학강의 1%에만 영향을 주겠지만 중국과 인도,한국과 같은 중요한 국가들의 유학생들을 유치하느 데 도움을 주고 프랑스 대학이 해외 대학과 제휴관계를 맺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법안에 대해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도 지지를 표시했다. 올랑드 대통령은 통역없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데 문제가 없지만 답은 프랑스어로 한다.


최근 프랑스에서는 인터넷과 디지털 기가 사용확산에 따라 일상에서 쓰이는 영어 낱말의 수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박희준 기자 jacklondo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