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G7 재무장관 "엔저 사실상 수용 입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주요7개국(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장들이 국내 경제적인 이유로 환율을 평가절하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지만, 엔화의 평가절하문제에 관련해서는 특별한 합의안 등이 나오지 않았다.


영국 런던 외곽에 있는 에일즈베리에서 10~11일(현지시간) 이틀간 열렸던 G7 재무장관-중앙은행장 회담에서는 공격적인 통화완화정책을 펼치고 있는 일본 정부가 엔화 평가절하를 의도하고 있지 않다며 일본 정부의 경제 정책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최근 엔화 가치는 급격히 떨어져, 지난해 11월 이후로 거의 30% 가까이 하락했다. 달러엔 환율은 5년만에 최고수준에 이르렀다. 엔화 가치가 떨어지면서 달러 가치는 평가절상 되고 있었지만 G7은 지난 2월 "일본 정부의 새로운 경제 정책은 국내 정책 수단을 통해서 국내 경제 정책을 추구한 것으로, 환율을 평가절하하려는 목적이 아니다"라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미국 재무부 관계자는 "회담 내용이 좋았다"며 "일본 정부는 자신들의 정책이 국내 내수를 살리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입증자료들을 제시했다"며 "일본의 경제 정책에 심도있는 의견교환을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미국, 캐나다, 독일의 재무장관은 최근 엔화의 환율 동향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있다며 급격한 환율 변동을 피한다는 G7합의안을 반복했다.


이와 관련해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은 기자들과 만나 "G7 국가들이 디플레이션을 꺾기 위해 꺼내든 충격 요법인 새로운 경제 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들을 내놓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회담에서 미국과 독일간의 정책 이견은 다시금 재연됐다. 볼프강 쇼이블레 독일 재무장관은 재정정책을 통해 독일의 경기 부양에 나서야 한다는 미국 정부의 견해와 자신들의 생각은 다르다고 언급하면서, 정부 재정을 통해 경제 부양에 나설 경우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독일의 경제 성장을 위해서는 신뢰를 다시금 얻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미국 정부는 독일 정부를 압박하고 나섰다. 미국 재무부 고위 관계자는 "흑자를 거두고 있는 나라가 민간 수요를 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G7 국가들은 탈세 방지를 위핸 공동대응을 강화하기로 했다. 각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다국적 기업이 조세회피 지역을 이용해 세금을 회비하는 행위를 근절할 수 있는 정책 검토를 요청하길 합의했다.


이번 회담은 비공식 회담이기 때문에 공동성명은 없었다고 회담 참가자들은 밝혔다.




나주석 기자 gongga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