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시아미래기업포럼]그레이스 사이 "비영리에 치우친 한계 극복해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아시아미래기업포럼]그레이스 사이 "비영리에 치우친 한계 극복해야" 그레이스 사이 '허브 싱가포르' 최고경영자(CEO)
AD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한국의 경우 정부와 기업 모두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의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사회적 기업모델을 꿈꾸는 전문경영인과 젊은이들이 이같은 목표를 공유한다면 사회혁신의 허브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레이스 사이 '허브 싱가포르' 최고경영자(CEO)가 24일 아시아경제신문·아시아경제팍스TV가 주최한 '2013 아시아 미래기업 포럼' 마스터 클래스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허브 싱가포르는 기업가들의 모임으로 사회적 기업을 위한 생태계 조성, 기업 육성, 정책 개발 등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그레이스 사이는 우선 비영리에 치우친 사회적 기업의 한계를 극복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사회적 기업 역시 영리기업과 같이 지속가능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사회적 기업은 영리기업과 비영리기업 사이에 있는 하이브리드형 기업”이라며 “정부와 기업의 지원에 의존한 모델로는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한 지속가능한 사회적 기업을 만들기 위해 기존 대기업들의 인식 변화도 촉구했다. 일반 영리 기업들이 사회적 기업에 대해 여전히 일방적인 사회공헌활동으로만 인식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그레이스 사이는 “기업의 문화와 경영진의 생각이 먼저 바뀌어야 한다”며 “일정한 리스크를 감수하겠다는 각오로 사회적 목표와 사업적 목표를 모두 성공적으로 이끌 모델을 만들어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시아미래기업포럼]그레이스 사이 "비영리에 치우친 한계 극복해야"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인도 나라야나 병원을 제시했다. 이 병원은 소득에 따라 비용 청구액을 차별화해 미국에서 2만달러 이상 드는 수술을 10분의 1수준인 2000달러에 가능하도록 했다. 모든 계층이 동일한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설명이다.


그는 “나라야나 병원은 소득에 따른 비용청구액을 차별화해 소득이 적은 계층도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며 “혁신적인 의료시스템을 구축해 일반 병원 보다 수익성도 높다”고 말했다.


현존하는 사회적 기업들을 바탕으로 앞으로 추구해야할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도 제시했다. 차입금 중심의 비영리 모델, 하이브리드 비영리 모델, 사회적 비즈니스 기업모델 등 기존 모델을 넘어 수익을 내면서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다수의 상생모델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는 “기업과 신뢰를 만들고 협업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을 통해 공통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협업 모델, 부가서비스 모델 등 더 많은 분야서 기회를 찾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임철영 기자 cyl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