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까지 계획수립, KB금융과 메가뱅크 가능성도..그룹 내부 '초고속' 우려 목소리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자산 400조원으로 국내 최대 금융그룹인 우리금융지주 민영화를 둘러싸고 정부와 우리금융이 동상이몽에 빠져있다. 민영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에는 누구도 이견이 없지만 그 방식과 시기 등을 놓고는 서로 바람이 일치하지는 않는다. 정부는 힘이 실리는 정권 초기에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이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하지만 우리금융 내부에서는 정부의 '속도전'을 우려하는 기류가 읽힌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가 우리금융 민영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면서 이 문제가 정권 초기의 주요 이슈로 급부상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위원장직을 걸고 이를 추진하겠다고 공언했다. 신 위원장이 제시한 우리금융 회장 인선의 기준은 명확하다. "매각을 빨리 할 수 있는 사람"이다. 정부는 예보를 통해 우리금융 지분 56.97%를 가지고 있다. 게다가 우리금융 지분 매각이 '메가뱅크' 방식이 될 경우 KB금융지주가 우리금융을 인수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 차기 KB금융의 회장이 누가 될지도 관심사다.
이 같은 상황에서 금융당국은 6월까지 우리금융 민영화 계획을 세우기로 했다. 가급적 빨리 매각한다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지난 정부에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매년 민영화를 추진했지만 결국 실패한 것이 정권 후반기로 갈수록 추진 동력이 떨어졌기 때문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일괄매각, 분할매각, 일괄매각 후 분할매각, 블록세일 등 여러 민영화 방법 중 정부가 어떤 안을 선택할지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시기만큼은 정권 초기로 못 박은 셈이다.
하지만 우리금융 내부는 뒤숭숭한 분위기다. 민영화를 이끌 차기회장 인선 작업은 이르면 이번 주부터 시작된다. 오는 23일 이사회가 열리고, 여기서 회장후보추천위원회가 구성되면 차기 회장 선임 작업이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조직논리로 보면 최고의 시너지가 날 수 있는 방법이 우선인데 빨리 파는 것이 과연 최선일까 하는 의문은 든다"고 말했다.
우리금융이나 우리은행 내부에선 일부 임원들이 회장으로 유력한 인사에게 줄을 대고 있다는 소문도 무성하다. 이해관계가 맞는 사람을 추대하는 편 가르기 움직임도 있다. 노골적으로 "000는 안된다" "000가 적격"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우리금융의 직원은 현재 160여명이지만 우리은행으로 확대하면 1만5000명에 달하고 이중 본부 부장을 포함한 지점장급은 1500여명이다. 회장이 바뀌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자리가 2000여개다. KB금융과 합병되는 메가뱅크 방식이라면 지점 수만 2000여 개에 달해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차기회장이 누가 되는가에 따라) 운명이 정해질 것을 생각하니 마음이 어수선하다"고 털어놨다.
우리금융 민영화에 참여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는 KB금융도 차기 회장 인선을 둘러싸고 내홍 조짐을 보이고 있다. KB국민은행 고위관계자는 "이제는 낙하산 인사가 아닌 KB 내부 출신으로 탁월한 능력은 물론 조직원들의 두터운 신뢰를 얻고 있는 사람이 차기회장에 올라야 할 때"라고 강조한 반면 KB금융지주 측 관계자는 "어윤대 회장처럼 외부의 압력을 제대로 막아낼 수 있는 힘이 있는 인물이라면 낙하산 인사라도 나쁘지 않다"며 "노조도 어 회장이 명예롭게 떠날 수 있게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KB금융지주는 이르면 오는 26일 정기이사회에서 회장후보추천위원회를 꾸릴 예정이다. 하지만 주총소집 공고, 회장후보 추천 등에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면 5월 초로 미뤄질 가능성도 있다.
김철현 기자 kch@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