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달러·대화 창구 개성공단, 北 위협에도 '이상무'

시계아이콘01분 3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출입·조업 정상...혹시 모를 도발에 대비

달러·대화 창구 개성공단, 北 위협에도 '이상무' ▲ 개성공단 전경
AD

[아시아경제 오종탁, 이혜영, 장준우 기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와 한미합동군사훈련 '키리졸브'로 한반도에 회오리가 불고 있지만, 개성공단만은 '무풍지대'다. 이는 개성공단이 남한과 북한을 이어주는 최후의 보루이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궁지에 몰린 북한이 언제 도발을 감행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개성공단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우려도 나온다.


◆ 출입 정상, 기업도 이상무 = 통일부는 12일 개성공단에 우리기업 관계자 840~850명가량이 출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출입을 위해 경기도 파주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CIQ)를 이용한다. 앞서 9, 10, 11일에도 개성공단 출입은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개성공단 입주업체들은 평소와 다름없이 생산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이임동 개성공단기업협회 사무국장은 이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남북 관계 경색은) 매년 있어온 일이라 다들 걱정하지 않으며 현장은 잘 돌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 사무국장은 다만 "정치권에서 괜히 긴장을 조성하는 것 같다"며 "이런 분위기가 지속되고 개성공단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면 투자가 위축돼 오히려 공단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이 군사훈련과 관련해 개성공단 근로자를 동원하는지를 묻자 "아직까지 그런 움직임은 전혀 없다"고 전했다.


북한 지역에 설치된 유일한 국내 은행지점인 '우리은행 개성지점'도 평소와 다름없이 정상영업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우리은행 개성지점에서는 본사에서 파견된 직원 3명과 현지에서 고용된 소수의 북한 주민이 환전 등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북은 달러, 우리는 대화 창구 = 전문가들은 개성공단의 정상 조업에 대해 남북 모두의 이해관계가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한다. 외화벌이와 남북대화 창구를 유지하려는 북한과 개성공단을 통해 한반도 긴장을 관리하려는 남한 정부의 의도가 맞아떨어진 것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북한의 개성공단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는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노동자 5만3500여명의 임금으로 매년 현금 9000만달러(약990억원)를 챙기고 있다. 국제사회의 제재로 돈줄이 묶인 상황에서 북한으로선 절실한 자금원이다. 공단 가동이 멈추면 개성과 인근 지역 주민 25만~30만명의 생계도 막막해진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남북 모두 개성공단 유지가 필요하다"며 "특히 북한은 일자리와 외화획득 등의 경제적인 요소도 있지만 개성공단이 고(故)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유훈사업이라 큰 상징성을 지녔기 때문에 제재나 압박을 넣기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지난 2월 초 "6ㆍ15정신의 견지에서 개성공업지구의 존속을 바라지만 그 누가 개성공단을 건드리면 다시 군사지역으로 만들겠다"며 개성공단을 먼저 흔들 의도가 없다는 뜻을 내비쳤고 통일부 역시 개성공단을 대북 제재수단으로 삼을 생각이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 납치극 등 가능성도 존재 = 현재까지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사상 초유의 긴장 속에서 북측이 도발을 강행하면 개성공단에 '불똥'이 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일각에서는 개성공단에서 우리 국민들이 인질로 잡힐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현재 개성공단에는 남측 기업 123개가 조업 중이고 남측 체류인원은 하루 평균 800명 정도다. 통일부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개성공단관리위원회 등을 통해 개성공단 체류인원에 대해 언행 조심과 비상연락망 유지 등을 담은 신변안전지침을 시달한 상태다.


그러나 양무진 교수는 "개성공단에서 인질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 지금은 전쟁 상황이 아니므로 상황을 너무 확대해석해선 안 된다"며 "정부는 북한을 무조건 적대적으로 바라보는 것을 경계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려는 대비를 하는 동시에 북한과의 관계를 진전시키는 두 호흡을 같이 가져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종탁 기자 tak@
이혜영 기자 itsme@
장준우 기자 sowhat@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