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몸 길이가 최대 1m에 달하는 '아귀'. 생선이라 하기엔 너무 못났다. 몸매도 완전 '꽝'이다. 바위에 눌렸는지 몸 전체가 납작하다. 머리 부분이 몸 전체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머리 크기에 걸맞게 입 또한 매우 크다. 입안에는 여러 가지 크기의 뾰족한 이빨들이 듬성듬성 나 있다.
입의 바로 위쪽에는 가느다란 안테나 모양의 촉수가 있는데, 이는 등지느러미의 가시가 변한 것으로 끝부분이 주름진 흰 피막으로 덮여 있다. 이를 좌우로 흔들어 먹이를 유인한 뒤, 통째로 삼킨다. 소화력이 매우 강해 조기, 병어, 도미, 오징어, 새우 등을 통째로 삼켜서 완전 분해시켜 소화한다.
아귀는 수온 17~20℃, 수심 55~150m의 깊은 바다에 주로 서식한다. 우리나라에선 서해남부, 남해, 동해남부, 일본의 홋카이도 이남해역, 동중국해, 서태평양 등에 분포한다. 산란기는 4~8월으로, 동중국해에 분포하는 어군은 4~5월 경 산란차 중국 연안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산란기가 되면 중국 연안의 산란장에서는 수많은 알들이 한천질에 싸여 띠 모양으로 돼 떠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보통 회색빛의 갈색을 띠며, 몸 주위에는 많은 피질 조각이 붙어 있다.
'아귀'라는 이름은 불교에서 말하는 '아귀(餓鬼)'에서 붙여졌다고 한다. 아귀란 살아서 탐욕이 많았던 자가 사후에 굶주림의 형벌을 받아서 변한 귀신을 가리키는 것으로, 입이 크고 흉하게 생긴 모습과 자신의 크기만한 물고기도 잡아먹는 식성 때문에 이같은 이름을 갖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귀는 음식을 욕심껏 입 안에 넣고 마구 씹어 먹는 모양을 비유하는 '아귀아귀 먹는다'에서 붙여진 것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한 번에 자기 체중의 30% 이상을 먹어도 소화에 전혀 문제가 없는 아귀의 대식성 때문에 탐욕과 욕심의 상징으로 회자되기도 한다.
아귀를 식용으로 즐기는 대표적인 나라는 우리나라와 일본이다. 아귀는 찜으로도 유명하며, 겨울인 12~3월이 제철이다. 생김새와 달리 맛이 담백해 복어와 쌍벽을 이룬다. 등이 검고 배가 흰 참아귀는 모두 검은 아귀에 비해 월등히 좋은 맛을 갖고 있다.
아귀의 근육 성분은 심해성 흰 살 생선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수분의 양이 많고 지질과 콜레스테롤이 적은 저칼로리 식품이다. 아귀의 간(애)은 30% 정도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어 맛이 좋다. 또 비타민A와 비타민E가 많이 함유돼 있어 노화방지와 시력보호, 뼈와 이의발육, 야맹증 등에 효과적이다. 더불어 세균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키워주며 피부가 거칠어지거나 손톱이 갈라지는 것도 막아준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이달(3월)의 제철 웰빙 수산물로 아귀를 선정하고, 홈페이지(www.mifaff.go.kr)에 아귀의 영양과 요리 등 관련 정보를 소개했다.
고형광 기자 kohk010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