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알뜰폰이 출시 1년이 넘었지만 축제 분위기는 커녕 깊은 시름에 빠졌다. 정부가 통신요금을 내린다는 취지로 알뜰폰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가입자는 여전히 정체 상태다. 알뜰폰에 대한 인식 부족이 원인이지만 이동통신 3사간 보조금 경쟁에 발목이 잡혔다. 이통사의 영업정지도 호재가 아닌 악재로 작용하는 등 한숨이 깊어가고 있다.
27일 방통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알뜰폰 가입자 수는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 수 대비 2.38%를 기록했다. 알뜰폰이 판매를 시작한 지난 해 1월 0.81%에서 소폭 상승한 수치다. 업계 관계자는 "1년 정도면 어느 정도 자리는 잡았어야 하는데 요즘은 더 죽을 맛"이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알뜰폰 사업자에게 호재라고 여겨졌던 일들은 번번이 어긋났다. 지난해 12월 이동통신3사 영업정지가 언론에 보도되자마자 알뜰폰 사업자 주가가 반등했지만 막상 이통사 영업정지가 시작되자 상황은 반전했다. 한 통신사가 영업정지에 들어가면 나머지 두 통신사가 보조금을 예전보다 더 많이 풀었다. 이 때문에 CJ헬로비전의 CJ모바일은 오히려 영업정지 전보다 가입자가 더 떨어졌다.
지난해 1~7월 월 평균 1만명, 8~10월 2만명, 11~12월 2만5000명으로 점점 늘어났지만 영업정지가 시작된 1월에는 지난해 중순 수준으로 감소했다. CJ헬로비전 관계자는 "우리나라 소비자에게 휴대폰은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 알뜰폰을 선택하는 게 쉽지 않은 일"이라며 "이통사의 자본력도 따라갈 수 없다"고 했다.
SK텔레콤의 자회사인 SK텔링크도 마찬가지다. SK텔레콤이 영업정지를 당한 지난 1월 31일부터 이달 21일까지 SK텔링크의 가입자는 바짝 늘어났다. 그전까지만 해도 일일 가입자가 100~300건 사이였는데 영업정지 기간에는 700~1000건으로 크게 올랐다.
이를 두고 업계에선 SK텔레콤이 신규 가입자를 모집할 수 없는 동안 SK텔링크에 보조금 등 각종 혜택을 지원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알뜰폰 업계 관계자는 "알뜰폰 사업자가 자생력이 없다는 말이기도 하다"고 분석했다.
방통위가 알뜰폰 사업을 벌려놓고 지지부진 하는 사이 국회가 나섰다. 알뜰폰 사업 활성화를 위한 각종 제도를 법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문방위 소속 전병헌 민주통합당 의원은 이동통신사가 알뜰폰 사업자들에게 LTE망도 3G망처럼 의무적으로 도매가격으로 제공하는 특별법을 3월 중 미래창조과학부를 상대로 발의할 예정이다.
전병헌 의원실 관계자는 "LTE망은 알뜰폰 사업자가 이통사로부터 싸게 빌리지 못해 LTE요금 수준이 기존 이동통신사와 비슷했다"며 "이 법안이 통과되면 알뜰폰 LTE 요금수준이 훨씬 내려가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심나영 기자 sn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